본문 바로가기
오늘을 읽다,보다,느끼다/오늘의역사

📅 11월 17일 오늘의 역사

by 시넘사 2025. 11. 15.
반응형

금연

📌 오늘의 기념일

  • 순국선열의 날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권 회복을 위해 헌신하고 희생한 순국선열들의 독립 정신과 위훈을 기리고 추모하는 법정 기념일입니다.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이 일제에 외교권을 빼앗긴 을사늑약(을사조약)이 체결된 치욕의 날을 잊지 않기 위해, 1939년 11월 2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에서 이 날을 '순국선열 공동기념일'로 제정한 것이 기원입니다. 광복 이후에는 민간 단체 주관으로 추모 행사가 이어지다가, 1997년 5월 9일 정부 기념일로 공식 제정되면서 국가보훈처 주관의 정부 행사로 거행되기 시작했습니다. 순국선열은 일제의 국권 침탈 전후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국권 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을 위해 항거하다가 순국한 분들을 일컫습니다. 이 날은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되새기고, 그들의 굳건한 독립 의지를 후세에 계승하며, 대한민국 안보의 뿌리이자 자유 민주주의의 기틀이 된 순국선열의 정신을 재확인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전국적으로 추모 행사와 함께 독립유공자에 대한 포상이 이루어지며, 국민들이 선열들의 넋을 기리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합니다.
  • 국제 학생의 날 (국제)
    전 세계 학생들이 자유, 민주주의, 평화의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투쟁하고 희생한 역사를 기리는 국제 기념일입니다. 이 날은 1939년 11월 17일,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독일에 의해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발생한 학생 시위 탄압 사건을 배경으로 합니다. 나치 점령에 항의하던 체코의 의대생 얀 오플레탈(Jan Opletal)이 사망하자, 이에 대한 추모 시위가 대규모로 발생했고, 나치 독일은 이를 폭력적으로 진압하여 9명의 학생 지도자를 즉결 처형하고 1,200명 이상의 학생들을 강제 수용소로 보냈습니다. 또한 모든 체코 고등교육기관을 폐쇄하였습니다. 1941년 런던에서 열린 국제 학생 협의회에서 이 날을 기념하여 '국제 학생의 날'로 공식 선포하였습니다. 이 날은 교육의 자유와 학생들의 인권을 상징하며, 독재와 탄압에 맞선 학생들의 용감한 정신을 기리는 동시에, 전 세계 대학생들이 민주주의와 인류애를 위해 연대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특히 교육의 중요성과 학생들이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는 주체임을 인식하게 하는 날입니다.
  • 세계 미숙아의 날 (국제)
    전 세계 미숙아(조산아)와 그 가족들을 위한 인식을 높이고, 조산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며, 미숙아 출생 및 관련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촉진하는 국제 기념일입니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1,500만 명의 아기가 조산으로 태어나며, 이는 5세 미만 아동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 날은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들의 생존율과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료적 지원과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기념일은 2008년 유럽 신생아 집중 치료 부모 단체(EFCNI)와 미국, 호주 등의 관련 단체들이 함께 제정하였으며, 이 날짜는 EFCNI 설립자인 실케 메더(Silke Mader)의 아이가 조산으로 태어나고 18년 후 동료와 함께 이 단체를 설립한 날을 기념하여 선택되었습니다. 전 세계의 랜드마크 건물들이 미숙아를 상징하는 보라색 조명으로 밝혀지며, 조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촉구하고, 미숙아 부모와 의료진에게 감사와 격려를 전하는 다양한 캠페인이 진행됩니다.
  • 유럽 금연의 날 (유럽 연합)
    유럽연합(EU)의 여러 회원국에서 흡연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금연을 장려하기 위해 지정된 기념일입니다. 이 날은 흡연으로 인한 질병과 사망을 줄이고, 특히 청소년과 젊은 세대의 흡연 시작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유럽연합은 공중 보건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날을 통해 금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흡연자들이 금연을 시도하도록 동기를 부여합니다. 일반적으로 이 날을 전후하여 각국 보건 당국과 비영리 단체들은 금연 상담, 금연 클리닉 정보 제공, 흡연의 해로움에 대한 교육 자료 배포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합니다. 또한, 공공장소에서의 금연 규정 강화나 담배 제품에 대한 세금 인상 등과 같은 정책적 논의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이 기념일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장려하고, 흡연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며, 궁극적으로 유럽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베스파시아누스 탄생일 (고대 로마)
    서기 9년에 태어난 로마 제국의 제9대 황제 티투스 플라비우스 베스파시아누스(Titus Flavius Vespasianus)를 기념하는 날입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로마의 혼란스러운 '네 황제의 해'(69년) 이후 황제로 즉위하여, 플라비우스 왕조를 개창하고 로마 제국의 안정과 재정을 회복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그는 검소하고 실용적인 성품으로 유명했으며, 군인 출신답게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여 제국 내의 반란을 진압하고 질서를 확립했습니다. 특히 예루살렘 성전 파괴를 포함하는 유대 전쟁을 종결시키고, 콜로세움 건설을 시작하는 등 대규모 공공 사업을 추진하여 로마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했습니다. 그의 통치는 로마 제국에 평화와 번영을 가져온 시기로 평가받으며, 그의 뒤를 이어 두 아들인 티투스와 도미티아누스가 황제 자리를 계승했습니다. 이 날은 로마의 혼란기를 수습하고 제국의 기초를 다진 중요한 황제 베스파시아누스의 업적을 기리는 의미가 있습니다.
  • 모에비우스 탄생일 (독일)
    1790년에 태어난 독일의 저명한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August Ferdinand Möbius)를 기리는 날입니다. 그는 특히 위상수학 분야에 큰 기여를 했으며, 그의 이름은 한쪽 면만 존재하는 비방향성 곡면인 **뫼비우스의 띠(Möbius strip)** 발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뫼비우스의 띠는 단순하지만 매우 흥미로운 위상학적 특성을 보여주어 수학뿐만 아니라 예술과 공학 분야에도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는 라이프치히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천문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행성 궤도 계산, 정역학, 수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뫼비우스의 업적은 현대 수학, 특히 기하학과 위상수학의 발전에 중요한 초석을 놓았으며, 그의 이름이 붙은 수학적 개념들은 오늘날까지도 교육 및 연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날은 수학적 발견과 과학적 탐구 정신을 기념하며, 수학과 과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을 기억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 역사 속 오늘

① 고대~19세기

  • 1558년 – 엘리자베스 1세, 영국 여왕 즉위 (영국)
    튜더 왕조의 마지막 군주이자 영국의 황금기를 이끈 여왕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I)가 25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른 날입니다. 그녀는 선대 여왕이었던 이복 언니 메리 1세가 사망하면서 왕위를 계승했습니다. 엘리자베스 1세의 즉위는 종교적 갈등과 국제적 위협으로 혼란스러웠던 영국에 새로운 시대를 열었습니다. 그녀는 종교적 관용 정책을 펼쳐 성공회(Anglican Church)를 확립하고 국내의 분열을 봉합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대외적으로는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격파(1588년)하며 영국의 해상 지배력을 확립했고, 탐험과 식민지 건설을 장려하여 영국을 세계 강국으로 발돋움시키는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그녀의 통치 기간(1558년~1603년)은 문학과 예술이 번성한 '엘리자베스 시대'로 불리며 셰익스피어와 같은 위대한 작가들이 활동했습니다. 독신을 유지하며 '처녀 여왕(The Virgin Queen)'으로 불린 그녀의 통치는 영국의 정체성과 국력을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 1796년 – 아르콜 다리 전투 (프랑스)
    프랑스 혁명 전쟁 중 이탈리아 전역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요제프 알빈치(József Alvinczi)가 지휘하는 오스트리아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전투입니다. 이 전투는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간 이탈리아 북부 아르콜(Arcole) 다리 근처에서 벌어졌습니다. 오스트리아군은 포위된 만토바 요새를 구원하기 위해 대규모 공세를 펼쳤으나, 나폴레옹은 뛰어난 기동성과 전술적 용기를 발휘하여 오스트리아군의 증원 시도를 저지했습니다. 특히 나폴레옹이 직접 깃발을 들고 위험을 무릅쓰고 돌격하는 장면은 그의 군사적 영웅성을 상징하는 유명한 일화로 남아 있습니다. 비록 전투는 양측 모두에게 큰 손실을 입혔지만, 프랑스군의 승리로 귀결되면서 나폴레옹은 이탈리아에서 자신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오스트리아의 전쟁 수행 능력을 크게 약화시켰습니다. 이 승리는 나폴레옹이 유럽 역사에 등장하는 강력한 군사 지도자로서 명성을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 1800년 – 미국 의회, 워싱턴 D.C.에서 첫 회의 개최 (미국)
    미국 연방 의회가 임시 수도였던 필라델피아를 떠나, 새로 건설된 영구적인 수도 워싱턴 D.C.의 **미국 국회의사당(United States Capitol)** 건물에서 처음으로 회의를 개최한 역사적인 사건입니다. 1790년 '거주법(Residence Act)'에 따라 수도가 포토맥 강변의 연방 특별 구역으로 결정된 이후, 국회의사당 건설이 진행되었습니다. 의회가 새로운 수도에서 공식적으로 업무를 시작한 것은 신생 독립국 미국의 정부 기구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행정 및 입법 기관이 영구적인 본거지를 확보했음을 상징합니다. 이는 미국 연방 정부의 중심지가 최종적으로 확립되었음을 의미하며, 중앙 정부의 권위와 국가 통합을 공고히 하는 중요한 단계였습니다. 의사당 건물은 미완성 상태였으나, 존 애덤스 대통령의 임기 마지막 해에 의회가 이전을 단행했습니다. 이 사건은 미국 민주주의와 연방 정부 시스템이 물리적, 상징적으로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이정표로 기록됩니다.
  • 1869년 – 수에즈 운하 개통 (이집트/국제)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여 유럽에서 아시아로 가는 항로를 크게 단축시킨 **수에즈 운하(Suez Canal)**가 이집트에서 공식적으로 개통된 사건입니다. 프랑스의 외교관이자 사업가인 페르디낭 드 레셉스(Ferdinand de Lesseps)의 주도로 약 10년에 걸친 대규모 공사를 통해 완성되었습니다. 이 운하는 아프리카 대륙을 우회할 필요 없이 선박이 직접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세계 무역과 해상 교통의 혁명을 가져왔습니다. 운하 개통으로 유럽과 아시아 간의 교역 시간이 대폭 단축되었고, 특히 영국의 인도 통치와 동방 무역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수에즈 운하는 지정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해상 통로 중 하나가 되었으며, 이후 수많은 국제적 분쟁과 정치적 긴장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이 공학적 성과는 19세기 세계 무역 질서와 국제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되며, 이집트는 운하를 통해 막대한 통행료 수입을 얻게 되었으나, 동시에 서구 열강의 간섭을 받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 1881년 – 영선사 파견 (조선)
    조선(고종 18년)이 신식 무기 제조 및 사용법을 배우고 근대적인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청나라 톈진(天津)에 파견한 유학생 및 시찰단입니다. 김윤식(金允植)을 영선사(領選使, 단장)로 하고, 생도 38명과 기술자 수십 명을 포함하여 총 69명이 파견되었습니다. 이들은 청나라의 근대화된 군수 공장인 톈진 기기국(天津機器局)에서 신식 무기 제작 기술, 기계 조작법, 군사 훈련 등을 배웠습니다. 영선사 파견은 1876년 개항 이후 조선이 서구 문물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 한 대표적인 근대화 노력 중 하나였습니다. 그러나 톈진에서의 유학 비용이 조선의 재정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과도하게 지출되었고, 조선 내부의 정치적 상황 변화와 김윤식의 귀국 등으로 인해 1년여 만인 1882년에 중단되었습니다.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영선사 파견 경험은 귀국한 생도와 기술자들을 통해 조선의 근대적 기술 도입과 군사 개혁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으며, 이후 근대식 무기 제조 시설 설립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 1905년 – 을사늑약 체결 (대한제국)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강제로 체결된 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 설치를 규정한 불평등 조약입니다. 을사년(1905년)에 체결되었기 때문에 을사조약 또는 을사늑약(乙巳勒約)이라 불리며, '늑약(勒約)'은 강압에 의해 체결된 조약임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일본은 러시아와의 러일전쟁 승리 이후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하기 위해 무력을 동원하여 이 조약 체결을 강요했습니다. 이 조약으로 대한제국은 국제 사회에서 독립 국가로서의 지위를 잃고 일본의 보호국으로 전락했으며, 이후 1910년 한일 병합으로 이어지는 일제 식민 지배의 직접적인 발판이 되었습니다. 고종 황제는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으나, 일본은 대신들의 강제적인 동의(을사오적)를 얻어 조약을 공포했습니다. 이 사건은 주권 침탈에 대한 조선 민중의 강력한 저항을 불러일으켰고, 의병 운동과 독립운동의 불씨를 지피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② 20세기 이후

  • 1948년 – 캐나다 시민권법 발효 (캐나다)
    캐나다에서 캐나다의 독립된 국적을 공식적으로 규정한 최초의 법률인 **캐나다 시민권법(Canadian Citizenship Act)**이 발효된 사건입니다. 이전까지 캐나다 국민은 영국 국적의 일부로 간주되었으며, 독자적인 법적 지위가 명확하지 않았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적으로 국가 정체성과 독립성이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캐나다는 자국의 주권을 상징하는 독자적인 시민권 제도를 마련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이 법은 캐나다 태생, 귀화, 그리고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영국 신민들에게 캐나다 시민권을 부여하는 기준과 절차를 확립했습니다. 이 법의 시행은 캐나다가 영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주권 국가임을 대내외적으로 천명하는 상징적인 행위였습니다. 또한, 이 법은 이민자들에게 캐나다 사회의 완전한 구성원이 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다문화 국가로서의 캐나다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이 법의 발효는 캐나다 역사에서 국가 정체성 확립과 자율성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됩니다.
  • 1969년 – 전략 무기 제한 협상 (SALT I) 시작 (국제)
    미국과 소련(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사이에 핵무기 경쟁을 제한하기 위한 일련의 회담인 **전략 무기 제한 협상(Strategic Arms Limitation Talks, SALT I)**이 핀란드 헬싱키에서 공식적으로 시작된 사건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양대 초강대국인 미국과 소련은 치열한 냉전 체제 속에서 상호 핵무기 개발 경쟁을 벌여왔습니다. 핵전쟁의 위험성이 고조되자, 양국은 상호 파괴를 피하기 위해 핵무기 증강을 억제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SALT I 협상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과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등 전략 핵무기의 수량과 배치에 제한을 두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 협상은 1972년 **SALT I 협정** 체결로 이어져 핵무기 통제 노력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냉전 시대의 군비 경쟁을 완화하고 양국 간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탕트(Détente)' 시대를 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인류 역사상 가장 위험했던 핵무기 경쟁을 관리하고 통제하려는 최초의 주요 국제적 노력 중 하나였습니다.
  • 1970년 – 더글러스 엥겔바트, 컴퓨터 마우스 특허 획득 (미국)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발명가인 **더글러스 엥겔바트(Douglas Engelbart)**가 개인용 컴퓨터의 핵심적인 입력 장치인 **컴퓨터 마우스(Computer Mouse)**에 대한 특허를 획득한 날입니다. 엥겔바트는 1960년대 초반부터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 작용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연구했으며, 1968년 '모든 시연의 어머니(The Mother of All Demos)'라고 불리는 역사적인 프레젠테이션에서 마우스를 대중에게 처음 선보였습니다. 이 발명은 컴퓨터 사용 방식을 명령줄 입력 방식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환경으로 전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마우스는 사용자가 화면상의 객체를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여 컴퓨터의 접근성과 유용성을 획기적으로 높였습니다. 비록 엥겔바트와 그의 연구소는 마우스의 상업적 성공을 통해 직접적인 큰 경제적 이익을 얻지 못했지만, 그의 발명은 현대 컴퓨터 기술과 정보화 시대를 가능하게 한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1989년 – 벨벳 혁명 시작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현재의 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를 무너뜨리고 민주주의 정부를 수립한 평화적인 시위 및 정치적 변화 과정의 시작일입니다. 이 혁명은 폭력적인 충돌 없이 비폭력적인 시위와 저항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벨벳(Velvet, 부드러운) 혁명'이라고 불립니다. 프라하의 학생 시위를 경찰이 폭력적으로 진압한 사건이 도화선이 되었으며, 이후 시민과 학생들의 대규모 시위가 이어지면서 공산당 정권에 대한 전국적인 저항이 확산되었습니다. 시민 포럼(Civic Forum)과 같은 민주화 운동 단체들이 결성되어 공산당 정권과 협상을 진행했고, 불과 몇 주 만에 공산당의 권력 독점이 종식되었습니다. 이 혁명은 동유럽 전역에서 진행된 공산주의 몰락의 일환이었으며, 무력 충돌 없이 민주주의를 회복한 성공적인 사례로 국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는 동유럽 냉전 종식의 중요한 상징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 1993년 –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미국 하원 통과 (미국)
    미국, 캐나다, 멕시코 세 나라 간의 무역 장벽을 제거하고 투자 및 서비스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협정인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이 미국 하원에서 찬성 234표, 반대 200표로 통과된 사건입니다. 1992년 조지 H.W. 부시 행정부 시절에 서명되었으나, 미국 내에서는 일자리 손실과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로 인해 비준 과정에서 격렬한 논쟁이 있었습니다. 빌 클린턴 행정부는 일부 수정 및 보완 조치를 포함하여 협정의 통과를 강력하게 추진했습니다. 이 협정은 1994년 1월 1일에 발효되어 북미 지역을 거대한 단일 경제권으로 묶었으며, 전 세계 경제 통합의 중요한 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 NAFTA는 북미 지역의 경제 성장과 무역 활성화에 기여했지만, 일부 산업의 해외 이전과 노동 조건 악화 등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비판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 경제 질서 재편의 중요한 분기점이었습니다.
  • 2003년 – 아놀드 슈워제네거, 캘리포니아 주지사 취임 (미국)
    오스트리아 출신의 보디빌더이자 영화배우였던 **아놀드 슈워제네거(Arnold Schwarzenegger)**가 캘리포니아주의 제38대 주지사로 공식 취임한 사건입니다. 그는 캘리포니아 주지사 그레이 데이비스(Gray Davis)에 대한 주민소환투표(Recall Election)가 가결되면서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습니다. 슈워제네거는 공화당 소속으로 정치 경험이 전무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인 인지도와 개혁을 주창하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주지사 자리에 올랐습니다. 그의 당선은 정치적 아웃사이더가 주류 정치에 진입한 이례적인 사건으로, 미국 정치 역사에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는 재임 기간 동안 주의 재정 위기를 극복하고 환경 정책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으며, 2011년까지 캘리포니아 주지사직을 수행했습니다. 이 사건은 유명인의 정치 참여와 대중 매체의 영향력이 미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