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유정난2 제 21화 :세종의 후계자 문제 – 수양대군과 안평대군 세종은 장남 문종(세자 이향)을 1429년에 확정된 적장자로 두었지만, 세자는 만성질환으로 국정 경험이 길지 않았다. 둘째 왕자 수양대군(이유, 1417–1468)과 셋째 왕자 안평대군(이용, 1418–1453)은 학문·무예·예술에서 상반된 재능을 보이며 성장했고, 세종의 재위 말년부터 이미 “만일의 상황”을 대비해 신료들이 두 대군의 역량을 비공식적으로 저울질했다. 세종이 1450년 2월 붕어하면서 왕권은 문종에게 승계되었으나, 문종 본인이 1452년 5월 병사하자 어린 단종(당시 12세)이 왕위에 오르게 된다. 이 시점부터 조선 조정은 ‘왕실 보위’를 명분으로 두 대군 가운데 누가 섭정 또는 보호자가 될 것인가를 놓고 격렬한 권력 투쟁에 휩싸였다.1. 두 대군의 성장 배경과 성격2. 붕어 직후 세력 .. 2025. 7. 18. 김종서 장군 인물탐구: 조선 북방을 개척한 장군, 개혁의 길에 선 문신 📍 인물 기본 정보이름: 김종서(金宗瑞)출생: 1383년 (우왕 9년)사망: 1453년 (단종 원년, 계유정난으로 피살)자: 사백(士白)본관: 안동 김씨관직: 병조판서, 좌의정, 영의정시호: 문충공(文忠公)묘소: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가문과 성장 배경김종서는 고려 말 혼란기를 지나 조선 초기의 과도기 속에서 태어났다.조부는 전주에서 농사를 짓던 생원 김숙자, 부친 김구는 무과에 올라 지방 군직을 역임한 인물이다.어린 시절부터 무예와 학문을 병행하여 수학했으며, 특히 역사·병법에 밝고 문무를 겸비한 유능한 인재로 평가받았다.📍 태종~세종 시기: 무관으로 성장1410년(태종 10년) 무과에 급제한 뒤 세종 시기까지 국경 방비 및 여진 정벌에 연이어 참여한다.1433년에는 최윤덕과 나란히 4군 설치,.. 2025. 6.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