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현전3

🏯 인물탐구: 세종대왕-한글 창제의 위대한 군주 1. 인물 기본 정보이름: 세종대왕 (世宗大王)본명: 이도(李祹)생몰연도: 1397년 5월 6일 ~ 1450년 3월 30일재위기간: 조선 제4대 왕 (1418년 ~ 1450년)묘호: 세종(世宗)능호: 영릉(英陵), 현재의 경기도 여주부친: 태종 이방원자녀: 문종, 세조 포함 18남 8녀2. 성장과 즉위 과정📌 조선 왕자의 셋째 아들이도는 태종 이방원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장자 승계가 원칙인 당시 왕실에서, 형인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이 있었음에도 비범한 학식과 인품으로 부왕의 총애를 받았습니다.태종은 장자였던 양녕대군의 태도 문제 등을 이유로 1418년 양녕을 폐위하고 이도를 왕세자로 삼습니다. 그해 8월, 태종이 물러나면서 이도가 22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릅니다.3. 통치와 업적 🔤 훈민정음 창.. 2025. 6. 28.
제12화 세종대왕과 집현전, 지식의 궁궐을 세우다 🧭 목차1. 혼란의 시대, 학문이 뿌리내릴 공간이 없었다2. 왕이 먼저 책상 앞에 앉다 📖3. 집현전, 조선에 없던 ‘지식 본부’ 설계4. 단순한 학문이 아닌, 삶을 바꾸는 연구5. 훈민정음, 가장 위대한 프로젝트6. 그러나, 그 지식은 권력과 부딪혔다 1. 혼란의 시대, 학문이 뿌리내릴 공간이 없었다조선이 건국된 1392년은 혼란의 시기였습니다. 고려 말기의 권문세족 중심 사회를 정리하고 새로운 질서를 세워야 했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성리학을 국가 이념으로 채택했지만, 학문은 아직 실무와 동떨어진 관념적 영역에 머물러 있었습니다.특히 태종은 행정력 강화를 통해 중앙집권 체제를 완성했지만, 지식인 사회와의 교류에는 제한이 많았습니다. 국왕과 신하 간의 학술 토론인 경연도 소극적으로 운영되었고, 관료.. 2025. 6. 16.
제 11화 세종대왕의 즉위와 유교 정치 이상 실현 목차1. 태종 말기의 조선 정치2. 충녕대군의 세자 책봉3. 태종의 선위와 상왕 체제4. 세종의 제도 개혁과 유교 정치 실현5. 황희와의 협치: 인사 충돌과 복직6. 세종 통치의 역사적 의미1. 태종 말기의 조선 정치• 태종은 조선을 '왕이 직접 통치하는 나라'로 만들고자 했습니다. 외척, 권문세족, 심지어 공신 세력까지도 견제하며 왕권을 한 손에 쥐었습니다.• 군사권은 사병 혁파로, 인사권은 6조직계제로 통제했습니다. 정무는 실무 중심으로 재편되었고, 모든 보고는 직접 왕에게 올라왔습니다.• 나라의 틀은 정비되었지만, 문제는 후계 구도였습니다.• 장자인 양녕대군은 방종했고, 정치에 무관심했습니다. 실록에도 여러 차례 문제행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태종은 고민 끝에 셋째 아들 충녕대군에게 시선을 돌립니.. 2025. 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