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은 1418년 8월 18일 즉위했습니다. 1420년 집현전 설치로 학문·기술 연구 기반을 마련한 뒤, 1423년 관노 출신 장영실을 상의원별좌(종5품)로 발탁하여 신분·관직 장벽을 완화했습니다. 1424년 5월, 세종은 “경점을 알리는 청동 기구를 주조하라”는 교지를 내려 장영실이 수동 물시계를 제작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이후 1430년대에는 자동 시계·천문 기구·강우 계측기 등 정밀 과학 장비가 연속 완성되었고, 1442년 전국 강우량 보고 제도로 연결되었습니다. 아래 연대표와 각 항목 분석은 『세종실록』·『태종실록』 원문 기사에 근거합니다.
실록 연대표
1424 년 5월 28일 (세종 6) — 경점지기(更點之器) 제작 명(命)
『세종실록』 권24: “궐내의 경점을 알리는 기구를 중국의 체제를 상고하여 구리로 주조하라.” 장영실이 수동 물시계를 완성해 행사직(정5품)으로 승진했습니다.
1433 년 6월 9일 · 8월 11일 (세종 15) — 혼천의·간의 완성
권61·권62 두 기사에 “장영실·김빈 등이 혼천의를 만들어 바치니 왕이 시험하여 허물을 찾지 못했다”·“8월 11일 보완한 혼천의를 다시 올렸다”라고 기록돼 있습니다. 간의는 동기간에 병행 제작되었습니다.
1434 년 7월 1일 (세종 16) — 자격루 첫 가동
권63: “경회루 남쪽 보루각에서 자격루 시험 치계(自擊) 성공을 보고하다.” 장영실·이천·김조가 참여했습니다.
1434 년 10월 1일 (세종 16) — 앙부일구 설치
권64: “혜정교·종묘 앞에 해시계(앙부일구)를 두어 백성이 시각을 알게 하였다.”
1437 년 4월 15일 (세종 19) — 일성정시의 완성
권77: “주야 측후기인 일성정시의가 이루어져 세종이 기문(記文)을 내렸다.” 낮·밤 시각 동시 측정 장치입니다.
1438 년 1월 7일 (세종 20) — 옥루·흠경각 준공
권80: “호군 장영실이 흠경각과 옥루를 완성하고 윤허를 받다.” 자동 물시계와 천문 시계가 결합된 종합 장치입니다.
1442 년 5월 8일 (세종 24) — 측우기 제도화
권109: “호조가 우량 측정을 위해 서운관에 측우기를 두고 비가 올 때마다 관원이 측량·계문하도록 아뢰다.” 길이 1척 5촌, 직경 7촌 규격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기술적 특징
장영실 기계류는 관측·기록·보정 3단계를 기본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혼천의·간의는 청동 프레임과 회전 축 분리 방식으로 계절 보정이 가능했습니다. 자격루는 파수호·수수호·동침을 연동한 낙차식 수차 구동으로 일 오차 약 24분 이내를 달성했습니다. 앙부일구는 위도 37° 기준 반구 내부에 24절기선·시각선을 음각하여 판독성을 높였습니다. 일성정시의는 일·성 구(球)를 배치해 해·별 시각을 하나의 기구에서 읽도록 했고, 옥루는 물시계·천구 회전 장치를 복합 설치해 시각·천문·절기 정보를 동시에 표기했습니다. 측우기는 주척 기반 규격화를 통해 한양과 지방 관아 자료를 상호 비교할 수 있게 했으며, 기구·자·대(臺) 세트를 통일했습니다.
행정 효과
1430년대 후반 완성된 천문·시계 기구는 1442년 『칠정산 내·외편』 역법 개정에 실측 데이터를 제공했습니다. 자격루와 앙부일구는 군영 파수 교대·관청 개폐 시간 표준화에 활용되어 행정 혼선을 완화했습니다. 일성정시의·옥루는 밤낮 시각을 연속 관측해 야간 군령·천문 관측 효율을 높였습니다. 측우기 제도화 이후 강우량 보고가 정례화되어 홍수·가뭄 대응 및 조세·공법 조정의 근거 자료로 쓰였습니다. 세종이 직접 기문·훈령을 남긴 사실은 과학기술 활용이 국정 핵심 과제로 인정받았음을 보여 줍니다.
실록 원문 속 장영실
* 1423 년 11월 — 상의원별좌 임명(『세종실록』 권23).
* 1424 년 5월 28일 — 경점지기 주조 명(『세종실록』 권24).
* 1433 년 6월 9일·8월 11일 — 혼천의 봉진 기사(권61·62).
* 1434 년 7월 1일 — 자격루 시험 가동 보고(권63).
* 1434 년 10월 1일 — 앙부일구 설치(권64).
* 1437 년 4월 15일 — 일성정시의 완성·기문(권77).
* 1438 년 1월 7일 — 옥루·흠경각 완성(권80).
* 1442 년 5월 8일 — 측우기 제도화 보고(권109).
* 1442 년 2월 — 수레 축 파손 사건으로 곤장·파직(권107). 이후 행적 미상.
🔖 용어 설명표
- 혼천의 : 천구·황도·지평 고리를 회전시켜 천체 위치를 측정하는 기구.
- 자격루 : 낙차식 수차로 자동 시보를 수행하는 물시계.
- 앙부일구 : 반구형 해시계로 시각·절기를 판독하는 기구.
- 일성정시의 : 해·별 시각을 동시에 측정하는 주야 겸용 시계.
- 옥루 : 물시계와 천문 시계를 결합한 자동 종합 시계.
- 측우기 : 표준 금속 통과 눈금 자로 강우량을 계측하는 우량계.
'고전의 확장 > 조선왕조실록 1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7화 : 세종 즉위기의 의정부 중심 정비와 육조 약화 (0) | 2025.07.13 |
---|---|
🏯 인물탐구: 세종대왕-한글 창제의 위대한 군주 (0) | 2025.06.28 |
김종서 장군 인물탐구: 조선 북방을 개척한 장군, 개혁의 길에 선 문신 (0) | 2025.06.21 |
최윤덕 장군 인물탐구: 북방을 개척한 무장, 조선을 설계한 전략가 (0) | 2025.06.20 |
제16화 4군 6진 개척 – 국토 확장 (0)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