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왕조실록 이야기

2화-조선의 국호와 정도전의 개혁 정치

by 시넘사 2025. 4. 18.

조선개국과 정도전

📖 『조선의 국호와 정도전의 개혁 정치』

고려를 넘어서 새 시대를 연 나라, ‘조선’은 어떻게 이름 붙여졌고, 정도전은 무엇을 바꾸려 했는가?


📌 목차

  1. 새로운 나라, 새로운 이름: 국호 ‘조선’의 의미
  2. 정도전은 누구인가: 유학자이자 혁명가
  3. 고려 말, 부패한 체제의 붕괴
  4. 건국 이후, 조선을 설계한 정도전의 개혁안
  5. 왕권보다 법치: 신권 중심의 정치 실험
  6. 『불씨잡변』과 불교 비판, 그리고 유교 국가의 탄생
  7. 에피소드: 조선이라는 이름을 둘러싼 명나라와의 긴장
  8. 맺으며: 정도전이 그린 ‘새로운 나라’의 설계도
  9. 용어 해설표

1. 새로운 나라, 새로운 이름: 국호 ‘조선’의 의미

1392년, 이성계는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왕조를 세웠다. 하지만 나라 이름을 정하는 일은 간단치 않았다. 당시 중국 명나라와의 외교 정당성을 확보해야 했기 때문에, 국호 후보로는 ‘화령(和寧)’, ‘화평(和平)’, ‘조선(朝鮮)’ 등이 제안되었다.

이성계와 정도전은 ‘조선’을 선호했다.

  • 고조선의 정통성을 계승한다는 의미
  • ‘아침의 맑은 나라’라는 시적 상징성

처음 명나라 황제 주원장은 화령을 선호했으나, 결국 “조선은 옛 이름이며 복을 부르는 이름”이라며 조선을 승인하였다.

📜 『태조실록』 태조 원년 7월 28일자: “명나라에서 하사한 국호가 조선으로 정해졌다.”

2. 정도전은 누구인가: 유학자이자 혁명가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은 고려 말의 정치가이자 학자이며, 조선의 사상과 제도를 설계한 인물이다.

  • 고려의 부패한 귀족 체제를 비판
  • 성리학을 바탕으로 유교 국가 구상
  • 현실 정치에 맞는 개혁안을 수립

그는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불씨잡변』 등을 집필하여 조선의 건국 철학과 행정 제도를 정립했다. 정도전은 단순한 보좌관이 아닌, 나라를 설계한 정치 건축가였다.

3. 고려 말, 부패한 체제의 붕괴

정도전이 개혁을 주장했던 이유는 고려 말 내부 부패가 심각했기 때문이다.

  • 권문세족의 토지 장악
  • 불교계의 타락과 사치
  • 백성의 피폐, 국방의 약화
  • 왜구와 홍건적의 침입

정도전은 이를 “나라가 아니라 세상을 바꾸어야 한다”는 사명으로 받아들였고, 이성계와 함께 체제 전환을 도모했다.

4. 건국 이후, 조선을 설계한 정도전의 개혁안

고려는 귀족 중심, 불교 중심 사회였다. 조선은 이를 뒤엎는 새로운 체제였다.

정도전의 4대 개혁안:

  1. 관료 중심 통치 체계 – 6조 체계 확립, 귀족 세력 억제
  2. 토지 제도 개편 – 과전법 시행으로 국가가 토지를 분배
  3. 유교 중심 사회 – 성균관, 향교 정비 / 불교 사찰 축소
  4. 법 중심 정치 철학 – 군주는 법을 따라야 하고, 신하는 왕을 바로잡을 수 있어야 한다
📘 『조선경국전』: “정치는 공도(公道)에 따라야 하며, 신하는 군주에게 직언할 수 있어야 한다.”

5. 왕권보다 법치: 신권 중심의 정치 실험

정도전은 군주가 법 위에 있으면 안 된다고 보았다. 그는 제도를 중심에 두고, 신하들이 국정을 운영하는 시스템을 추구했다.

이러한 철학은 후에 태종, 세종의 정치관에 영향을 주었으나, 동시에 이방원에게는 정적 제거의 명분이 되었다.

6. 『불씨잡변』과 불교 비판, 그리고 유교 국가의 탄생

정도전은 『불씨잡변』을 통해 불교를 강하게 비판했다.

  • 불교는 현실 정치와 민생에 무관하다
  • 출가 제도는 국가 생산력에 해가 된다
  • 유교는 현실과 공동체 중심의 사상이다

이러한 사상은 조선을 유교 중심 국가로 이끄는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

7. 에피소드: 조선이라는 이름을 둘러싼 명나라와의 긴장

처음 명나라에 올린 국호는 ‘화령’이었지만, 황제는 이를 거절하였다. 정도전은 ‘조선’이라는 이름을 다시 제안했고, “예부터 쓰이던 이름”이라며 최종 승인되었다.

명나라 내부에서는 “고구려의 계승을 자처하는 이름 아니냐”는 경계심도 있었다. 정도전은 문서와 외교적 수사로 이를 무마했다.

8. 맺으며: 정도전이 그린 ‘새로운 나라’의 설계도

정도전은 체제 전복자가 아니라, 이상적 국가를 설계한 개혁가였다.

그가 설계한 조선은:

  • 군주는 법을 따라야 하고
  • 백성은 보호받으며
  • 능력 중심의 관료제가 운영되는 나라

비록 그는 이방원에 의해 제거되었지만, 그의 사상과 제도는 조선 500년의 기초가 되었으며, 오늘날에도 그는 가장 철학적인 개혁가로 평가된다.

9. 용어 해설표

용어 설명
조선경국전 정도전이 지은 조선의 첫 법전이자 행정 규범
과전법 국가가 토지를 관리하고 공신 및 관료에게 지급하는 제도
성리학 유교의 이념을 이론적으로 정비한 학문으로, 조선의 통치 이념
불씨잡변 정도전이 불교를 비판하며 성리학 중심 국가를 주장한 책
6조 체계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의 6행정기관 중심 체제
권문세족 고려 말에 정치, 경제, 사회적 특권을 장악한 귀족층
공도(公道) 공정한 도리, 정의에 따른 정치 운영을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