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의 기념일
- 인도네시아 독립기념일 (인도네시아)
1945년 8월 17일 수카르노와 하타가 자카르타에서 독립을 공표했습니다. 이후 네덜란드와의 전쟁과 협상을 거쳐 1949년에 주권이 최종 이양되었습니다. 현재는 국기 게양, 독립선언문 낭독, 전통 경기와 퍼레이드로 널리 기념합니다. - 가봉 독립기념일 (가봉)
1960년 8월 17일 프랑스로부터 독립했습니다. 수도 리브르빌을 중심으로 군사 퍼레이드와 문화행사가 열립니다. ‘아프리카의 해’로 불린 1960년의 독립 흐름 속에서 탄생한 국가임을 상기합니다. - 산 마르틴 장군 추모일 (아르헨티나)
해방 영웅 호세 데 산 마르틴이 서거한 1850년 8월 17일을 기립니다. 아르헨티나는 매년 8월 셋째 월요일을 공휴일로 지정해 이동하여 기념하지만, 공식 추모는 17일 당일에도 진행합니다. 학교와 군 부대에서 추모식과 역사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 블랙캣 인식의 날 (미국·비공식)
검은 고양이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입양을 독려하는 날입니다. 보호소와 동물단체가 입양 캠페인을 전개합니다. 반려동물 문화 개선과 책임 있는 입양을 강조합니다. - 성 히아친토 축일 (가톨릭)
도미니코회 성인 히아친토(야첵)를 기리는 축일입니다. 폴란드와 동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미사와 행렬이 열립니다. 구호와 선교 활동의 모범을 되새기는 전례력상의 기념입니다. - 중고가게의 날(Thrift Shop Day) (미국·비공식)
기부 재사용 문화를 확산하고 지역 커뮤니티 지원 단체의 활동을 알립니다. 각지의 비영리 재사용 매장이 특별행사와 기부 캠페인을 운영합니다. 순환경제와 자원 절약의 실천을 장려합니다.
🕰 역사 속 오늘
① 고대~19세기
- 986년 – 트라야누스의 문 전투 (비잔티움·불가리아)
비잔티움 황제 바실리오스 2세의 군이 불가리아 사무일의 매복에 패했습니다. 전투는 오늘날 불가리아 소피아 인근 트라야노비 브라타 고개에서 벌어졌습니다. 이 패배는 비잔티움의 발칸 공세를 지연시켰습니다. - 1424년 – 베르느이 전투 (프랑스·잉글랜드)
노르망디 베르느이 근교에서 잉글랜드군이 프랑스·스코틀랜드 연합군을 격파했습니다. 백년전쟁 국면에서 잉글랜드의 우세를 재확인한 전투로 평가됩니다. 다수의 스코틀랜드 병력이 전사했습니다. - 1585년 – 안트베르펜 함락 (스페인·네덜란드)
알레산드로 파르네세가 지휘한 스페인군이 안트베르펜을 항복시켰습니다. 많은 개신교 상공인이 북부로 이주해 암스테르담의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저지대 지역의 정치·경제 지형을 바꾼 사건입니다. - 1786년 – 프리드리히 2세 사망 (프로이센)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2세가 포츠담 산수지에서 서거했습니다. 그는 군제 개혁과 영토 확장, 계몽 전제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후 조카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가 계승했습니다. - 1807년 – ‘노스 리버 스팀보트(클레몽)’ 첫 상업 항해 (미국)
로버트 풀턴의 증기선이 뉴욕에서 올버니까지 운항을 시작했습니다. 평균 시속 약 5마일로 허드슨강을 거슬러 올라갔고, 상업용 증기선 시대를 열었습니다. 이후 증기선은 내륙 교통과 물류 혁신을 이끌었습니다. - 1862년 – 다코타 전쟁 발발 (미국)
미네소타 액턴 타운십에서 정착민 피살 사건을 계기로 분쟁이 확대되었습니다. 식량 지급 지연과 약속 불이행이 누적된 갈등 배경으로 지적됩니다. 전쟁은 수주간 이어졌고 지역사회에 큰 피해를 남겼습니다.
② 20세기 이후
- 1945년 –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 (인도네시아)
일본의 항복 직후 8월 17일, 수카르노와 모하맛 하타가 자카르타에서 독립을 공표했습니다. 선언은 라디오와 인쇄물을 통해 전국으로 전파되었고, 인도네시아 준비위원회(PPKI)가 임시 헌정 질서를 정비했습니다. 네덜란드는 전후 질서 속에서 식민지 지배 복귀를 시도했으나, 무력 충돌과 외교전이 장기간 이어졌습니다. 유엔 감시 하에 중재가 진행되면서 1949년 12월 네덜란드가 주권 이양을 승인했습니다. 독립기념일은 국기 게양식, 궁정·군 의식, 지역 공동체 행사로 국가 정체성을 확인하는 핵심 기념일로 자리잡았습니다. 오늘날에도 행정기관과 학교에서 독립선언문 낭독과 역사 교육을 병행합니다. - 1960년 – 가봉 독립 (가봉)
프랑스 공동체 체제에서 자치권을 확대해 오던 가봉은 8월 17일 완전한 주권국가가 되었습니다. 레옹 음바가 정치적 주역으로 등장했고, 초기에는 프랑스와의 협력 조약을 통해 행정·안보·경제 의존을 조정했습니다. 풍부한 산림과 석유 자원을 배경으로 수도 리브르빌과 포르장틸을 축으로 한 개발 정책이 추진되었습니다. 독립 이후 단일정당 체제가 강화되었다가, 1990년대 복수정당제로의 전환이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독립기념일은 군사 퍼레이드, 문화공연, 체육행사로 구성되어 국가 상징과 통합을 강조합니다. 프랑스어 사용과 현지 언어 보존을 병행하는 문화정책도 이날 메시지에 포함됩니다. - 1978년 – ‘더블 이글 II’ 대서양 횡단 달성 (미국·프랑스)
헬륨 가스기구 더블 이글 II가 메인주 프레스크아일을 출발해 약 137시간 비행 후 프랑스 미즈레 근교에 착륙했습니다. 벤 아브루초,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이 최초의 기구 대서양 횡단 기록을 세웠습니다. 항로는 북대서양 편서풍을 활용했으며, 아일랜드 연안 통과 이후 유럽 본토 상공을 건넜습니다. 총 비행거리는 약 5,000km로 집계되며, 기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밸러스트 투하 등 연속 조종이 수행되었습니다. 도착 지점은 인구 밀집 지역을 피한 들판으로 선택되어 안전 착지에 기여했습니다. 이 기록은 경량 항공·기구 항법 연구와 모험 비행의 이정표로 평가됩니다. - 1982년 – 세계 최초 상업용 CD 생산 개시 (독일)
8월 17일 하노버 인근 랑겐하겐의 폴리그램/필립스 공장에서 상업용 콤팩트디스크(CD) 양산이 시작되었습니다. 초기 생산 타이틀 가운데 하나는 스웨덴 그룹 ABBA의 ‘The Visitors’로 알려져 있습니다. CD 규격은 소니와 필립스가 공동 개발했으며, 이후 일본과 유럽 시장부터 순차 출시되었습니다. 레이저 광학 판독과 디지털 오디오 포맷 도입으로 잡음 억제와 내구성이 개선되어 산업 구조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이동했습니다. 1980년대 후반에는 플레이어 가격 하락과 타이틀 확대가 보급을 가속했습니다. 이후 데이터 저장(CD-ROM)과 영상 매체 발전(DVD·블루레이)로 이어지는 기술 경로를 열었습니다. - 1988년 – 파키스탄 지아 울하크 대통령 항공기 추락 사망 (파키스탄)
8월 17일 바하왈푸르에서 이륙한 C-130 수송기가 추락해 지아 울하크 대통령과 미 대사 아널드 래이펠 등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습니다. 사고 원인은 기체 결함, 사보타주, 조종 계통 이상 등 여러 가설이 제기됐으나 결론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사건은 냉전기 남아시아 정세에 영향을 주었고, 국내 정치에서는 군정의 권력 공백과 민정 이양 논의가 촉진되었습니다. 이후 곤도 회의와 총선 준비가 병행되며 권력 구조가 재편되었습니다. 군·정보기관과 외교 채널은 사고 조사에 협력했지만 결정적 증거 확보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국가 애도 기간 동안 각지에서 추모식이 진행되었습니다. - 1999년 – 마르마라(이즈미트) 대지진 발생 (튀르키예)
현지시각 03시 02분, 코자엘리 주 인근 북아나톨리아 단층에서 모멘트규모(Mw) 7.6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이즈미트, 괼쥐크, 얄로바와 이스탄불 일부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공식 통계로 수만 명의 사상자가 보고되었고, 건축물 붕괴와 화재, 일부 해안에서는 소규모 쓰나미가 동반되었습니다. 국가 비상 대응과 국제 인도 지원이 신속히 전개되었으며, 이후 건축기준 강화와 내진 보강 정책이 확대되었습니다. 대규모 산업시설 피해는 공급망 차질을 불러왔고, 복구 과정에서 도시계획 재정비가 추진되었습니다. 지진 위험 인식과 시민 대비 교육도 제도화되었습니다. - 2008년 – 마이클 펠프스, 올림픽 8관왕 달성 (중국·미국)
베이징 국가수영센터에서 열린 남자 400m 혼계영 계주 결승에서 미국 대표팀이 세계신기록으로 우승했습니다. 펠프스는 이 금메달로 대회 8번째 금메달을 획득해 단일 올림픽 최다 금메달 기록을 세웠습니다. 동료 브렌던 핸슨, 아론 피어솔, 제이슨 리작이 함께 뛰었습니다. 기록 경신과 종목 분산 전략, 예선·결승 관리가 성과로 이어졌습니다. 국제수영연맹의 경기 운영과 수영복 규정 변화 논의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후 펠프스는 세계선수권과 차기 올림픽에서도 통산 기록을 확장했습니다.
반응형
'오늘을 읽다 > 오늘의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8월 16일 오늘의 역사 (0) | 2025.08.15 |
---|---|
📅 8월 15일 오늘의 역사 (0) | 2025.08.13 |
📅 8월 14일 오늘의 역사 (0) | 2025.08.13 |
광복절(8월 15일) – 일본 침략의 시발점부터 해방까지 (1) | 2025.08.13 |
📅 8월 13일 오늘의 역사 (0) | 202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