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완전정복: 훈민정음 창제부터 디지털 시대의 한글까지
핵심 요약: 한글날은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는 날입니다.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 1926년 첫 기념(가갸날) 이후 변천을 거쳐 오늘(10월 9일) 국경일·공휴일로 지킵니다. 본문은 창제 배경과 원리, 보급사, 한글날 변천, 오늘의 디지털 한글과 실천 가이드를 한 번에 정리합니다.목차한글날, 왜 기념합니까?창제 배경: 세종의 문제의식과 집현전창제 철학과 원리: 천·지·인, 상형, 제자 원리반포와 명명: 1443 창제, 1446 반포, ‘훈민정음’과 ‘한글’보급의 역사: 언문에서 학술운동까지한글날의 변천 연표오늘의 한글: 규범·유니코드·폰트·접근성세계 속의 한글과 로마자 표기강점과 흔한 오해활용 가이드: 오늘 실천 체크리스트Q&A 7문 7답타임라인 & 용어 정리마무리한글날, 왜 기념합니..
2025. 10. 8.
제12화 세종대왕과 집현전, 지식의 궁궐을 세우다
🧭 목차1. 혼란의 시대, 학문이 뿌리내릴 공간이 없었다2. 왕이 먼저 책상 앞에 앉다 📖3. 집현전, 조선에 없던 ‘지식 본부’ 설계4. 단순한 학문이 아닌, 삶을 바꾸는 연구5. 훈민정음, 가장 위대한 프로젝트6. 그러나, 그 지식은 권력과 부딪혔다 1. 혼란의 시대, 학문이 뿌리내릴 공간이 없었다조선이 건국된 1392년은 혼란의 시기였습니다. 고려 말기의 권문세족 중심 사회를 정리하고 새로운 질서를 세워야 했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성리학을 국가 이념으로 채택했지만, 학문은 아직 실무와 동떨어진 관념적 영역에 머물러 있었습니다.특히 태종은 행정력 강화를 통해 중앙집권 체제를 완성했지만, 지식인 사회와의 교류에는 제한이 많았습니다. 국왕과 신하 간의 학술 토론인 경연도 소극적으로 운영되었고, 관료..
2025.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