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업데이트: 2025-08-31 · 기준: 대한민국 헌법·국군조직법·군인사법·군인복제령
핵심 한 줄 — 대통령은 헌법에 따라 국군통수권자입니다.
작전(군령)은 합동참모의장 중심, 행정(군정)은 각군 참모총장 중심입니다.
작전(군령)은 합동참모의장 중심, 행정(군정)은 각군 참모총장 중심입니다.
목차
- 지휘 체계 한눈에 보기
- 대한민국 공통 계급 체계(법정)
- 군별 계급 표(육·해·공·해병)
- 계급장 아이콘(법령 도형 체계 · 텍스트)
- 계급별 대표 보직(예시)
- 자주 묻는 질문
- 근거(핵심 조항)
- 추천 태그
지휘 체계 한눈에 보기
쉽게 보기 — 대통령 → 국방부 장관 → 합동참모의장(작전 지휘·감독) ↔ 각군 참모총장(행정 지휘).
해병대는 법률상 해군에 속함. 군정은 해군참모총장→해병대사령관, 작전은 합참 지휘.
해병대는 법률상 해군에 속함. 군정은 해군참모총장→해병대사령관, 작전은 합참 지휘.
단계 | 직위 | 설명(요지) |
---|---|---|
최상위 | 대통령(국군 통수권자) | 헌법상 국군을 통수합니다. |
국방 | 국방부 장관 | 국방정책 수립·군정 총괄, 합참의 군령 보좌를 받습니다. |
합동 | 합동참모의장 | 장관을 군령에서 보좌하며 각군 작전부대를 작전지휘·감독합니다. |
각 군 | 육군·해군·공군 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 군정은 해군참모총장 예하) |
각 군 본부 지휘·감독. 작전부대 지휘·감독은 합참 소관. |
관계 정리 — 병렬: 육·해·공 참모총장은 서로 동급. 사단장끼리·군단장끼리도 병렬.
직속: 해병대사령관은 군정에서 해군참모총장 직속, 작전은 합참 지휘.
직속: 해병대사령관은 군정에서 해군참모총장 직속, 작전은 합참 지휘.
대한민국 공통 계급 체계(법정)
먼저 핵심 — 법정 병 계급 표기는 병장·상등병·일등병·이등병입니다. (관용 축약: 상병·일병·이병)
구분 | 계급(상위→하위) | 비고 |
---|---|---|
장교 | 원수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 대령 · 중령 · 소령 / 대위 · 중위 · 소위 | 장성(대·중·소·준장), 영관(대·중·소령), 위관(대·중·소위) |
준사관 | 준위 | 장교와 부사관 사이 특수 기술·운용 직위 |
부사관 |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 중간관리자·전문 간부층 |
병 | 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 의무복무(징집·지원) 중심 계층 |
한 줄 기억법 — 장성(대·중·소·준장) · 영관(대·중·소령) · 위관(대·중·소위) → 준사관(준위) → 부사관(원·상·중·하사) → 병(병장·상등병·일등병·이등병).
군별 계급 표(육·해·공·해병)
주의 — 해군 장성은 통칭 제독 계열(대·중·소·준장). 해병대는 해군 소속으로 동일 한글 호칭 사용, 군정은 해군·작전은 합참 지휘를 따릅니다.
구분 |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
장성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 대장(제독) · 중장(제독) · 소장(제독) · 준장(제독)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 중장 · 소장 · 준장 (해병대사령관: 통상 중장) |
영관 | 대령 · 중령 · 소령 | 대령(함정: 영어식 Captain) · 중령 · 소령 | 대령 · 중령 · 소령 | 대령 · 중령 · 소령 |
위관 | 대위 · 중위 · 소위 | 대위 · 중위 · 소위 | 대위 · 중위 · 소위 | 대위 · 중위 · 소위 |
준사관 | 준위 | 준위 | 준위 | 준위 |
부사관 |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
병 | 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 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 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 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
이렇게 이해하세요 — 작전은 합참(합동참모의장)으로 모여서 하나처럼 움직이고, 행정은 각군 본부가 각자 맡습니다. 해병대는 제도상 해군 본부 라인(군정), 실제 작전 운용은 합참 라인(군령)입니다.
계급장 아이콘(법령 도형 체계 · 텍스트)
안내 — 군인복제령의 도형 체계를 텍스트로 치환했습니다.
장성=★, 영관=✿(환엽 로제트: 잎장식 원형 + 중앙 마름모. 무궁화를 뜻하지 않는 대체 기호), 위관·준사관=◆(마름모), 부사관=⌃(체브런), 병=━(가로 막대).
폰트에 따라 ✿가 흐리면 동일 의미의 대체 기호(예: ❀, ✤)를 사용해도 됩니다.
장성=★, 영관=✿(환엽 로제트: 잎장식 원형 + 중앙 마름모. 무궁화를 뜻하지 않는 대체 기호), 위관·준사관=◆(마름모), 부사관=⌃(체브런), 병=━(가로 막대).
폰트에 따라 ✿가 흐리면 동일 의미의 대체 기호(예: ❀, ✤)를 사용해도 됩니다.
계급군 | 계급 | 아이콘(텍스트) | 설명 |
---|---|---|---|
장성 | 대장 | ★ ★ ★ ★ | 별 4개(원수는 별 5개) |
중장 | ★ ★ ★ | 별 3개 | |
소장 | ★ ★ | 별 2개 | |
준장 | ★ | 별 1개 | |
영관 | 대령 | ✿ ✿ ✿ | 환엽 로제트 3개(잎장식 원형 + 중심 마름모) |
중령 | ✿ ✿ | 환엽 로제트 2개 | |
소령 | ✿ | 환엽 로제트 1개 | |
위관 | 대위 | ◆ ◆ ◆ | 마름모 3개 |
중위 | ◆ ◆ | 마름모 2개 | |
소위 | ◆ | 마름모 1개(은색 기준) | |
준사관 | 준위 | ◆ | 마름모 1개(금색 기준) |
부사관 | 원사 | ⌃ ⌃ ⌃ ⌃ | 체브런 4개 |
상사 | ⌃ ⌃ ⌃ | 체브런 3개 | |
중사 | ⌃ ⌃ | 체브런 2개 | |
하사 | ⌃ | 체브런 1개 | |
병 | 병장 | ━ ━ ━ ━ | 막대(줄) 4개 |
상등병 | ━ ━ ━ | 막대 3개 | |
일등병 | ━ ━ | 막대 2개 | |
이등병 | ━ | 막대 1개 |
※ 도형 취지 요약: 장성=별, 영관=환엽 로제트(잎장식 원형 + 중앙 마름모), 위관·준사관=마름모, 부사관=체브런, 병=가로 막대. 실제 색상·크기·바탕무늬는 군별 복제규정에 따릅니다.
계급별 대표 보직(예시)
주의 — 아래 보직은 일반적 예시입니다. 실제 편제·보직은 작전환경·조직개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급군 | 대표 보직(육군 기준 중심) | 비고 |
---|---|---|
병 | 분대원·분대장(병장) | 의무복무 인력, 분대장(병장)은 소부대 리더 역할 |
부사관 | 분대장(하사~중사), 주특기 운용, 중대/대대 병기·정비·통신 등 실무 책임 | 중간관리자·전문 기술 |
준사관 | 항공정비·화력통제·정보·통신 등 고급 기술 운용 | 장교-부사관 사이의 특수 기술직 |
위관 | 소대장(소·중위), 중대장(대위), 참모 보직(교육·작전·인사 등) | 전투·교육의 일선 지휘 |
영관 | 대대장(중령), 연대장·여단장(대령/준장), 참모부서 과장·참모장 | 전투단위 지휘 핵심 |
장성 | 사단장(소장), 군단장(중장), 지상작전사령관(대장), 해군작전사령관·공군작전사령관(중장), 참모총장(대장) | 작전권·전력 운용 총괄(군별 편제에 따라 상이) |
예시로 구분 — 지상작전사령관=대장 / 해군작전사령관=중장 / 공군작전사령관=중장.
자주 묻는 질문
먼저 정답 — 군 통수권자는 대통령입니다.
Q. 군 통수권자는 누구입니까? | 대한민국 대통령입니다. 헌법에 “대통령은 국군을 통수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
Q. 해병대는 독립 군종인가요? | 법률상 해군에 속하는 조직입니다. 해병대사령관은 해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해병대를 지휘·감독하며, 작전은 합참 지휘체계에 따릅니다. |
Q. ‘상병·일병·이병’ 표기가 틀렸나요? | 법정 표기는 상등병·일등병·이등병입니다. 관용 축약은 가능하지만, 정확 표기는 법령에 따릅니다. |
근거(핵심 조항)
- 대한민국헌법 제74조①: 대통령은 국군을 통수한다.
- 국군조직법 제9조: 합동참모의장은 군령에서 국방부장관을 보좌, 각군 작전부대 작전지휘·감독.
- 국군조직법 제10조②·③: 각군 참모총장은 군정 지휘·감독(작전부대는 제외). 해병대사령관은 해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지휘·감독.
- 군인사법 제3조: 장교·준사관·부사관·병의 법정 계급(병: 병장·상등병·일등병·이등병).
- 군인복제령 제7조·별도4: 계급장 종류와 도형 제식(장성=별, 영관=환엽 로제트, 위관·준사관=마름모, 부사관=체브런, 병=가로 막대).
반응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운동가 칭호를 정하는 기준 (0) | 2025.09.02 |
---|---|
싱가포르의 사법적 신체형 – 회초리형벌의 실태와 절차 (0) | 2025.08.15 |
홍콩 반환, 왜 일어났을까요? 1997년 주권 이양 이해하기 (0) | 2025.06.29 |
625 한국전쟁 – 한반도를 갈라놓은 전쟁의 서막 (0) | 2025.06.24 |
국제기구 뭐가 있나요? 핵심 16개 정리해드립니다! (0)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