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대한민국 군대 계급 총정리

by 시넘사 2025. 8. 31.
반응형

 

군계급

업데이트: 2025-08-31 · 기준: 대한민국 헌법·국군조직법·군인사법·군인복제령

핵심 한 줄대통령은 헌법에 따라 국군통수권자입니다.
작전(군령)은 합동참모의장 중심, 행정(군정)은 각군 참모총장 중심입니다.

목차

  1. 지휘 체계 한눈에 보기
  2. 대한민국 공통 계급 체계(법정)
  3. 군별 계급 표(육·해·공·해병)
  4. 계급장 아이콘(법령 도형 체계 · 텍스트)
  5. 계급별 대표 보직(예시)
  6. 자주 묻는 질문
  7. 근거(핵심 조항)
  8. 추천 태그

지휘 체계 한눈에 보기

쉽게 보기대통령국방부 장관합동참모의장(작전 지휘·감독) ↔ 각군 참모총장(행정 지휘).
해병대는 법률상 해군에 속함. 군정은 해군참모총장→해병대사령관, 작전은 합참 지휘.
단계 직위 설명(요지)
최상위 대통령(국군 통수권자) 헌법상 국군을 통수합니다.
국방 국방부 장관 국방정책 수립·군정 총괄, 합참의 군령 보좌를 받습니다.
합동 합동참모의장 장관을 군령에서 보좌하며 각군 작전부대를 작전지휘·감독합니다.
각 군 육군·해군·공군 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 군정은 해군참모총장 예하)
각 군 본부 지휘·감독. 작전부대 지휘·감독은 합참 소관.
관계 정리병렬: 육·해·공 참모총장은 서로 동급. 사단장끼리·군단장끼리도 병렬.
직속: 해병대사령관은 군정에서 해군참모총장 직속, 작전은 합참 지휘.

대한민국 공통 계급 체계(법정)

먼저 핵심 — 법정 병 계급 표기는 병장·상등병·일등병·이등병입니다. (관용 축약: 상병·일병·이병)
구분 계급(상위→하위) 비고
장교 원수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 대령 · 중령 · 소령 / 대위 · 중위 · 소위 장성(대·중·소·준장), 영관(대·중·소령), 위관(대·중·소위)
준사관 준위 장교와 부사관 사이 특수 기술·운용 직위
부사관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중간관리자·전문 간부층
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의무복무(징집·지원) 중심 계층
한 줄 기억법장성(대·중·소·준장) · 영관(대·중·소령) · 위관(대·중·소위) → 준사관(준위) → 부사관(원·상·중·하사) → (병장·상등병·일등병·이등병).

군별 계급 표(육·해·공·해병)

주의 — 해군 장성은 통칭 제독 계열(대·중·소·준장). 해병대는 해군 소속으로 동일 한글 호칭 사용, 군정은 해군·작전은 합참 지휘를 따릅니다.
구분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장성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대장(제독) · 중장(제독) · 소장(제독) · 준장(제독)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중장 · 소장 · 준장 (해병대사령관: 통상 중장)
영관 대령 · 중령 · 소령 대령(함정: 영어식 Captain) · 중령 · 소령 대령 · 중령 · 소령 대령 · 중령 · 소령
위관 대위 · 중위 · 소위 대위 · 중위 · 소위 대위 · 중위 · 소위 대위 · 중위 · 소위
준사관 준위 준위 준위 준위
부사관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병장 · 상등병 · 일등병 · 이등병
이렇게 이해하세요작전은 합참(합동참모의장)으로 모여서 하나처럼 움직이고, 행정은 각군 본부가 각자 맡습니다. 해병대는 제도상 해군 본부 라인(군정), 실제 작전 운용은 합참 라인(군령)입니다.

계급장 아이콘(법령 도형 체계 · 텍스트)

안내군인복제령의 도형 체계를 텍스트로 치환했습니다.
장성=★, 영관=✿(환엽 로제트: 잎장식 원형 + 중앙 마름모. 무궁화를 뜻하지 않는 대체 기호), 위관·준사관=◆(마름모), 부사관=⌃(체브런), 병=━(가로 막대).
폰트에 따라 ✿가 흐리면 동일 의미의 대체 기호(예: ❀, ✤)를 사용해도 됩니다.
계급군 계급 아이콘(텍스트) 설명
장성 대장 ★ ★ ★ ★ 별 4개(원수는 별 5개)
중장 ★ ★ ★ 별 3개
소장 ★ ★ 별 2개
준장 별 1개
영관 대령 ✿ ✿ ✿ 환엽 로제트 3개(잎장식 원형 + 중심 마름모)
중령 ✿ ✿ 환엽 로제트 2개
소령 환엽 로제트 1개
위관 대위 ◆ ◆ ◆ 마름모 3개
중위 ◆ ◆ 마름모 2개
소위 마름모 1개(은색 기준)
준사관 준위 마름모 1개(금색 기준)
부사관 원사 ⌃ ⌃ ⌃ ⌃ 체브런 4개
상사 ⌃ ⌃ ⌃ 체브런 3개
중사 ⌃ ⌃ 체브런 2개
하사 체브런 1개
병장 ━ ━ ━ ━ 막대(줄) 4개
상등병 ━ ━ ━ 막대 3개
일등병 ━ ━ 막대 2개
이등병 막대 1개

※ 도형 취지 요약: 장성=별, 영관=환엽 로제트(잎장식 원형 + 중앙 마름모), 위관·준사관=마름모, 부사관=체브런, 병=가로 막대. 실제 색상·크기·바탕무늬는 군별 복제규정에 따릅니다.

계급별 대표 보직(예시)

주의 — 아래 보직은 일반적 예시입니다. 실제 편제·보직은 작전환경·조직개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급군 대표 보직(육군 기준 중심) 비고
분대원·분대장(병장) 의무복무 인력, 분대장(병장)은 소부대 리더 역할
부사관 분대장(하사~중사), 주특기 운용, 중대/대대 병기·정비·통신 등 실무 책임 중간관리자·전문 기술
준사관 항공정비·화력통제·정보·통신 등 고급 기술 운용 장교-부사관 사이의 특수 기술직
위관 소대장(소·중위), 중대장(대위), 참모 보직(교육·작전·인사 등) 전투·교육의 일선 지휘
영관 대대장(중령), 연대장·여단장(대령/준장), 참모부서 과장·참모장 전투단위 지휘 핵심
장성 사단장(소장), 군단장(중장), 지상작전사령관(대장), 해군작전사령관·공군작전사령관(중장), 참모총장(대장) 작전권·전력 운용 총괄(군별 편제에 따라 상이)
예시로 구분지상작전사령관=대장 / 해군작전사령관=중장 / 공군작전사령관=중장.

자주 묻는 질문

먼저 정답 — 군 통수권자는 대통령입니다.
Q. 군 통수권자는 누구입니까? 대한민국 대통령입니다. 헌법에 “대통령은 국군을 통수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Q. 해병대는 독립 군종인가요? 법률상 해군에 속하는 조직입니다. 해병대사령관해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해병대를 지휘·감독하며, 작전은 합참 지휘체계에 따릅니다.
Q. ‘상병·일병·이병’ 표기가 틀렸나요? 법정 표기는 상등병·일등병·이등병입니다. 관용 축약은 가능하지만, 정확 표기는 법령에 따릅니다.

근거(핵심 조항)

  • 대한민국헌법 제74조①: 대통령은 국군을 통수한다.
  • 국군조직법 제9조: 합동참모의장은 군령에서 국방부장관을 보좌, 각군 작전부대 작전지휘·감독.
  • 국군조직법 제10조②·③: 각군 참모총장은 군정 지휘·감독(작전부대는 제외). 해병대사령관은 해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지휘·감독.
  • 군인사법 제3조: 장교·준사관·부사관·병의 법정 계급(병: 병장·상등병·일등병·이등병).
  • 군인복제령 제7조·별도4: 계급장 종류와 도형 제식(장성=별, 영관=환엽 로제트, 위관·준사관=마름모, 부사관=체브런, 병=가로 막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