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의 기념일
- 벨기에 국경일 (벨기에)
1831년 7월 21일 레오폴 1세가 벨기에 국왕으로 즉위하여 입헌 군주제가 공식 출범했습니다. 정부는 군악 퍼레이드와 왕실 사열을 진행하며 브뤼셀 시청 앞 광장에서 국가 기념식을 거행합니다. 저녁에는 전국 주요 도시에서 불꽃놀이가 실시됩니다. - 괌 해방의 날 (괌)
1944년 7월 21일 미국 해병대가 상륙하여 일본 점령이 종료된 것을 기리는 공식 기념일입니다. 하갓냐에서는 참전용사 추모식과 해방 퍼레이드가 열립니다. 축제 행사는 1945년부터 매년 계속되고 있습니다. - 인종 조화의 날 (싱가포르)
1964년 7월 21일 인종 폭동을 교훈 삼아 제정된 정부 주도의 공식 기념일입니다. 초·중등학교는 전통 의상 착용 활동과 다문화 워크숍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높입니다. 기념일은 학내 갈등 예방 교육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정크 푸드의 날 (미국)
미국의 비공식 기념일로 평소 제한하던 고열량 간식을 자유롭게 즐기도록 권장합니다. 식품업계는 한정 메뉴와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여 소비자 참여를 유도합니다. 보건 당국은 섭취량 조절과 영양 정보 확인을 병행 안내합니다. - 래밍턴 데이 (호주)
호주를 대표하는 스펀지 케이크 ‘래밍턴’을 기념하는 비공식 기념일입니다. 제빵점은 전통 레시피와 변형 제품을 함께 판매합니다. 학교와 자선단체는 케이크 판매 수익을 지역 구호 활동에 사용합니다. - 노 펫 스토어 퍼피의 날 (미국)
미국 동물보호단체가 주도하는 비공식 인식 제고일입니다. 행사에는 강아지 공장 근절 캠페인과 반려동물 입양 권장 활동이 포함됩니다. 소비자는 반려동물 구입 경로의 투명성을 확인하도록 안내받습니다.
🕰 역사 속 오늘
① 고대~19세기
- 기원전 356 – 아르테미스 신전 방화 (고대 그리스)
헤로스트라토스가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에 불을 질러 건물을 전소시켰습니다. 신전은 당시 세계 7대 불가사의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사건 후 헬레니즘 양식으로 신전 재건이 추진되었습니다. - 1403 – 슈루즈버리 전투 (잉글랜드)
헨리 4세 왕군과 반란군 해리 핫스퍼가 슈루즈버리 근교에서 충돌했습니다. 왕군이 승리하여 랭커스터 왕조의 통치를 공고히 했습니다. 전투는 장궁 전술의 효과를 입증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 1718 – 파사로비츠 조약 체결 (오스트리아·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와 오스만 제국은 파사로비츠에서 전쟁 종결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베오그라드 등 중부 발칸 영토를 양도했습니다. 조약은 오스만의 서유럽 방위선을 후퇴시키는 분기점이 되었습니다. - 1773 – 예수회 교단 해산 (교황청)
교황 클레멘스 14세는 「Dominus ac Redemptor」 칙령으로 예수회를 공식 해산했습니다. 교단은 러시아와 프로이센 등지에서 비공개 활동을 지속했습니다. 1814년 교황 비오 7세가 복원을 승인하기까지 국제적 교육·선교 공백이 이어졌습니다. - 1798 – 피라미드 전투 (이집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지휘한 프랑스 군은 마믈룩 기병대를 격파했습니다. 프랑스 군은 사각 대형 전술을 사용하여 전투 우위를 확보했습니다. 승리 결과 카이로 점령이 가능해졌습니다. - 1861 – 제1차 불런 전투 (미국)
버지니아 프린스윌리엄 카운티에서 남북전쟁 첫 대규모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연합군은 지휘 체계 불안으로 후퇴했고, 연맹군이 승리했습니다. 전투는 전쟁 장기화를 예고하는 신호탄이 되었습니다.
② 20세기 이후
- 1944 – 괌 전투 개시 (미국)
미 제3해병사단 등 연합군이 괌 아산·아가트 해안에 상륙했습니다. 작전은 마리아나·팔라우 전략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일간의 교전 끝에 미 군이 섬을 완전 확보했습니다. - 1954 – 제네바 협정 체결 (스위스)
제네바 회의 참가국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전쟁 종결 문서를 승인했습니다. 협정은 베트남을 북위 17도선 기준으로 잠정 분할했습니다. 통일 선거가 예정되었으나 실행되지 않아 베트남 전쟁의 배경이 형성되었습니다. - 1969 – 아폴로 11호 첫 월면보행 (미국)
UTC 02시 56분,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에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버즈 올드린은 19분 뒤 합류해 과학 표본을 채취했습니다. 행사는 전 세계에 생중계되어 약 6억 명이 시청했습니다. - 1970 – 아스완 하이댐 준공 (이집트)
이집트 공병단은 나일강 수문 조절을 목표로 한 대형 댐 건설을 완수했습니다. 댐은 홍수 예방과 수력발전을 동시에 달성했습니다. 공사 과정에서 아부심벨 신전 등 유적이 이전 복원되었습니다. - 2007 –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출간 (영국)
J. K. 롤링 시리즈 마지막 권이 전 세계 동시 출간되었습니다. 첫날 판매량은 영국과 미국을 합산해 1,100만 권을 기록했습니다. 출간과 함께 자정 판매 행사와 독서 마라톤이 열렸습니다.
🔎 사건 들여다보기
1954 – 제네바 협정 체결 (스위스)
【배경】
프랑스는 19세기 후반부터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를 하나로 묶어 인도차이나 연방이라는 식민지를 운영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베트남 민족 독립 세력인 **베트민(호찌민 지도)**이 프랑스군과 싸우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46~1954년)이 벌어졌습니다. 1954년 5월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가 크게 패배하자 전쟁을 끝낼 국제 협상이 필요해졌습니다.
【회의 준비】
1954년 4월, 미국·소련·영국·프랑스·중국이 참여한 제네바 회의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렸습니다. 인도차이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베트민 대표, 프랑스령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 대표도 참석했습니다. 회의 목표는 휴전 조건과 식민지 미래를 결정하는 것이었습니다.
【협정 핵심 내용】
- 휴전 선언: 프랑스군과 베트민은 전투를 즉시 중단합니다.
- 17도선 임시 분할: 북위 17도선을 기준으로 북쪽은 베트민, 남쪽은 프랑스가 지원하는 베트남국이 관리합니다. 이 선은 군사 경계선일 뿐 영구 국경이 아니라는 점을 명시했습니다.
- 전국 선거 계획: 1956년 7월 이전에 베트남 전체에서 자유 선거를 실시해 통일 정부를 세운다는 약속을 포함했습니다.
- 라오스·캄보디아 독립: 두 국가는 외국군이 철수하고 독립국 지위를 인정받았습니다.
【즉각적 영향】
협정에 따라 프랑스군은 인도차이나에서 철수했습니다. 베트민은 북부 하노이를 수복했고, 남부에는 미국의 지원을 받는 정부가 남았습니다. 휴전선 인근에는 비무장지대(DMZ)가 설정되었습니다.
【장기적 영향】
예정된 1956년 선거는 남북 간 정치 불신과 미국의 반대로 실시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베트남은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으로 분단된 채 냉전 구도 속에서 대립했습니다. 이 갈등은 1960년대 베트남 전쟁으로 이어져 국제사회에 큰 파급 효과를 남겼습니다.
반응형
'오늘을 읽다 > 오늘의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7월 20일 오늘의 역사 (0) | 2025.07.19 |
---|---|
📅 7월 19일 오늘의 역사 (1) | 2025.07.18 |
📅 7월 18일 오늘의 역사 (2) | 2025.07.17 |
📅 7월 17일 오늘의 역사 (0) | 2025.07.16 |
제헌절 • 7월 17일 (0)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