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을 읽다/오늘의역사

📅 7월 22일 오늘의 역사

by 시넘사 2025. 7. 21.
반응형

파이

📌 오늘의 기념일

  • 파이 근사값의 날 (국제)
    분수 22⁄7이 원주율 π를 근사한다는 점을 기념합니다. 세계 각지의 교육 기관이 원주율·원넓이 체험 활동을 진행합니다. 참가자는 파이 모양 간식을 나누며 수학 개념을 학습합니다.
  • 전국 해먹의 날 (미국)
    한여름에 해먹에서 쉬면서 휴식의 가치를 되새기는 날입니다. 공원과 뒷마당에 해먹을 설치하고 독서와 낮잠을 즐깁니다. 가구 업계는 휴양용 해먹 제품을 홍보합니다.
  • 사라왁 독립의 날 (말레이시아)
    사라왁 주가 1963년 영국으로부터 자치권을 획득한 사건을 기립니다. 주 정부는 공식 기념식을 열어 역사 교육과 지역 문화를 소개합니다. 각지에서 퍼레이드와 전통 공연이 진행됩니다.
  • 쥐잡이꾼의 날 (독일)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 전설을 토대로 설치류 방제의 중요성을 알립니다. 도시 위생 캠페인과 방역 종사자 감사 행사가 진행됩니다. 주민 참여 퍼레이드가 개최됩니다.
  • 스푸너리즘의 날 (국제)
    단어 첫 음절이 바뀌는 ‘스푸너리즘’을 만든 윌리엄 스푸너를 기립니다. 학교와 언어 동호회가 말장난 퀴즈를 통해 언어 구조 학습을 돕습니다. 일상적 실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자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 전국 망고의 날 (인도)
    망고의 맛과 경제적 가치를 홍보하기 위해 제정된 날입니다. 농업 단체와 요식업계가 품종 전시와 조리 시연을 진행합니다. 학교는 망고 재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 역사 속 오늘

① 고대~19세기

  • 1298 – 폴커크 전투 (스코틀랜드)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윌리엄 월리스가 지휘한 스코틀랜드군을 격파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스코틀랜드 독립 투쟁이 일시 후퇴했고 월리스는 수호자 직을 사임했습니다. 장궁 부대의 효율성이 확인되어 영국 전술 발전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 1456 – 벨그라드 공방전 종료 (헝가리)
    존 후냐디가 지휘한 수비군이 메흐메트 2세의 오스만군을 격퇴했습니다. 4일부터 22일까지 이어진 포위가 끝나며 다뉴브 방어선이 확보되었습니다. 교황청은 승리를 기려 정오 종 타종 관례를 도입했습니다.
  • 1793 – 알렉산더 매켄지 태평양 도달 기록 (캐나다)
    탐험대가 딘 채널 바위에 ‘1793년 7월 22일’이라고 새겨 북미 대륙 횡단 완주를 증명했습니다. 이는 멕시코 이북 최초의 육상 횡단 사례로 기록됩니다. 여정은 루이스·클라크 원정의 참고가 되었습니다.
  • 1796 – 클리블랜드 도시 건설 시작 (미국)
    모지스 클리블랜드가 커야호가 강 어귀에 신식 도시 구획을 설계했습니다. 오대호 수로 교통 요충지라는 이점 덕분에 이후 산업 도시로 성장했습니다. 도시 이름은 초기 ‘Cleaveland’에서 ‘Cleveland’로 간략화되었습니다.
  • 1812 – 살라망카 전투 (스페인)
    웰링턴이 이끄는 연합군이 프랑스군을 급습해 이베리아 전선의 주도권을 바꿨습니다. 프랑스군은 1만여 명의 사상자를 내고 안달루시아에서 철수했습니다. 승리는 반나폴레옹 동맹 강화의 전기가 되었습니다.

② 20세기 이후

  • 1933 – 윌리 포스트 단독 세계일주 비행 완주 (미국)
    포스트는 단엽기 ‘위니 메이’를 조종해 7일 18시간 49분 만에 뉴욕 플로이드 베넷 비행장으로 귀환했습니다. 이는 인류 최초의 단독 세계일주 비행 기록입니다. 항법 자동조종장치와 무선 방향 탐지기를 시범 적용했습니다.
  • 1942 – 바르샤바 게토 대규모 강제 이송 개시 (폴란드)
    나치 독일은 6천 명을 태운 첫 열차를 트레블링카 수용소로 보냈습니다. 9월까지 26만 5천 명 이상이 같은 노선으로 이송되었습니다. 열차 대기 중 탈수와 기아로 인한 추가 사망도 발생했습니다.
  • 1946 – 킹 데이비드 호텔 폭파 사건 (팔레스타인)
    무장 조직 이르군이 영국 행정 본부가 있던 호텔 남관에 폭탄을 설치해 91명이 숨졌습니다. 공격 목적은 영국 당국의 단속 자료를 파기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사건은 이후 영국의 팔레스타인 통치 정책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 1977 – 덩샤오핑 복권 (중국)
    중국 공산당은 덩샤오핑을 중앙위원회 부주석 등 주요 직책에 복귀시켰습니다. 이는 문화대혁명 이후 개혁·개방 노선의 기반을 마련한 정치적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덩은 이후 경제 현대화 정책을 주도했습니다.
  • 2003 – 우다이·쿠사이 후세인 사살 (이라크)
    미군 특수부대와 101공수사단이 모술 은신처를 포위해 4시간 교전 끝에 두 형제를 사살했습니다. 이 작전으로 후세인 정권 잔존 세력의 활동이 위축되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현상금 3천만 달러 지급을 공표했습니다.
  • 2011 – 노르웨이 연쇄 테러 (노르웨이)
    극우 성향 범인 안데르스 브레이비크가 오슬로 정부 청사 폭탄 테러와 우퇴야 섬 총격을 연달아 감행해 77명이 숨졌습니다. 노르웨이 정부는 즉각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구조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사건은 유럽 내 극단주의 경계 정책 강화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 사건 들여다보기

1793년 알렉산더 매켄지 태평양 도달 기록

1. 사건 개요

알렉산더 매켄지 탐험대는 1793년 7월 22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딘 해협(현 벨라쿨라 지역 인근)에 도달했습니다. 그는 바위 표면에 ‘Alexander Mackenzie, from Canada by land, 22d July 1793’라는 문구를 적어 북미 대륙을 육로로 횡단했음을 증명했습니다. 이 기록은 멕시코 북쪽 지역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대륙 횡단 완료 사례입니다.

2. 배경

매켄지는 몬트리올 기반 모피 교역회사 노스웨스트 컴퍼니 소속 지배인이었습니다. 18세기 후반 모피 시장 확대와 태평양 해안 교역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 서쪽 해로(海路) 대신 육로 탐험 경로를 찾는 것이 회사의 전략적 과제였습니다. 매켄지는 1789년 맥켄지강 하구에 도달했으나 북극해로 연결되는 경로임을 확인한 뒤, 태평양으로 이어지는 남서 방향의 내륙 루트를 재탐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3. 여정과 경로

탐험대는 1792년 10월 포트 치피와이언(현재 앨버타 주 애서배스카 호수 인근)을 출발했습니다. 이후

  • 피스강을 따라 상류로 이동해 로키산맥을 넘었습니다.
  • 프레이저 강 지류인 블랙워터 강 및 벨라쿨라 강을 따라 하류로 내려갔습니다.
  • 1793년 7월 20일경 해조의 흐름을 확인했고, 7월 22일 딘 해협 바위에 도달했습니다.
    현장에서 남긴 붉은 안료 기록은 사후(事後) 복원 과정에서 확인돼 현재 ‘사인 포스트’(Mackenzie Rock)로 보존되고 있습니다.

4. 현지 협력과 상호 작용

탐험 과정에서 피스강 북도(北道)를 안내한 크리(Cree)·세카니(Sekani)·캐리어(Carrier) 원주민과 해안부 누할크(Nuxalk)인의 지원이 필수적이었습니다. 원주민 지식 덕분에 험준한 로키산맥 통과와 강줄기 연결 경로를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매켄지는 일지에 식량 교환, 수로 정보, 언어 통역 등에 관한 세부 사항을 남겼습니다.

5. 영향 및 의의

매켄지의 횡단 기록은 캐나다 내륙 수로망의 연결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노스웨스트 컴퍼니는 이 결과를 근거로 태평양 연안 교역 계획을 확장했으며, 후일 미국 정부가 추진한 루이스·클라크 탐험(1804 – 1806)에도 자극을 주었습니다. 또한 캐나다 서부 영토 확장을 정당화하는 사료로 활용되어, 19세기 영국령 북아메리카 식민지 정책에 참고 자료가 되었습니다.

6. 평가

매켄지 탐험은 과학적 측량 장비 없이 지도 작성, 천문 관측, 상세 일지 기록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인정됩니다. 다만 탐험 경로 일부는 급류와 험지로 인해 교역로로 즉시 활용되지 못했으며, 원주민 공동체에 대한 경제·문화적 영향은 이후 별도 조약과 충돌 양상으로 이어졌습니다. 오늘날 해당 루트는 캐나다 국립사적지로 지정되어 보존 관리 중입니다.

반응형

'오늘을 읽다 > 오늘의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7월 21일 오늘의 역사  (2) 2025.07.20
📅 7월 20일 오늘의 역사  (0) 2025.07.19
📅 7월 19일 오늘의 역사  (1) 2025.07.18
📅 7월 18일 오늘의 역사  (2) 2025.07.17
📅 7월 17일 오늘의 역사  (0) 2025.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