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의 기념일
- 제헌절 (대한민국, Constitution Day)
1948년 7월 17일 헌법이 공포된 날을 기념합니다. 이 날짜는 조선 건국일과 동일한 음력을 고려해 선정되었습니다. 2008년 이후 공휴일에서는 제외되었으나 국경일 지위는 유지됩니다. - 세계 이모지의 날 (국제, World Emoji Day)
2014년 Emojipedia 설립자 제러미 버지가 제정했습니다. 달력 이모티콘 ‘17 July’에서 유래해 매년 같은 날짜에 진행됩니다. IT 기업과 이용자가 이모티콘 관련 발표와 행사를 실시합니다. - 국제 형사 사법의 날 (국제,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Day)
1998년 로마 규정 채택을 기념해 국제형사재판소가 지정했습니다. 대량학살과 전쟁범죄 책임자 처벌의 의의를 강조합니다. 회원국과 시민사회가 국제 사법 협력 행사를 엽니다. - 국왕 탄신일 (레소토, King’s Birthday)
레치에 3세 국왕의 1963년 7월 17일 탄생을 기리는 국경일입니다. 수도 마세루에서는 의장대 행진과 전통 공연이 개최됩니다. 정부 기관과 학교가 휴무합니다. - 국가 복권의 날 (미국, National Lottery Day)
매사추세츠주 복권이 2018년 처음 시행했습니다. 각 주 복권 기관이 책임 구매와 사회 환원 프로그램을 홍보합니다. 소매점은 당일 한정 추첨과 할인 행사를 진행합니다. - 기온 마쓰리 절정일 (일본, Gion Festival Parade)
교토 야사카 신사의 기온 마쓰리는 이날 첫 야마호코(山鉾) 행렬을 진행합니다. 20여 대 전통 수레가 시내를 행진하며 악단이 연주합니다. 축제는 869년 역병 진정 의식에서 유래했습니다.
🕰 역사 속 오늘
① 고대~19세기
- 1048 – 교황 다마수스 2세 즉위 (교황령, Enthronement of Pope Damasus II)
독일 출신 브릭센 주교 포포가 7월 17일 교황 다마수스 2세로 선출되었습니다. 재위 기간은 23일에 그쳤습니다. 8월 9일 말라리아로 추정되는 질병으로 사망했습니다. - 1203 – 제4차 십자군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략 (비잔티움 제국, Fourth Crusade Assault on Constantinople)
십자군과 베네치아 함대가 블라케르나이 성벽을 공격했습니다. 7월 17일 베네치아 선원들이 해상 성벽 25개 탑을 점령했습니다. 황제 알렉시우스 3세는 금고를 지니고 도주하여 수도가 혼란에 빠졌습니다. - 1453 – 카스티용 전투 (프랑스, Battle of Castillon)
프랑스군이 가스코뉴 카스티용에서 영국군을 포격 진지로 유인해 격파했습니다. 잉글랜드 사령관 존 탤벗 백작이 전사했습니다. 학계는 이 전투를 백년전쟁의 사실상 종결로 평가합니다. - 1717 – 헨델 「수상 음악」 초연 (영국, Handel’s Water Music Premiere)
조지 1세가 템스강 유람 선상 연주를 요청했습니다. 50인 편성 연주단이 헨델의 관현악 모음곡을 초연했습니다. 군주는 연주 종료 때마다 세 차례 반복을 지시했습니다. - 1791 – 샹 드 마르스 학살 (프랑스, Champ de Mars Massacre)
파리 시민이 루이 16세 폐위를 요구하며 청원을 진행했습니다. 라파예트가 지휘한 국민방위대가 군중에 발포해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사건은 혁명 세력 내부 분열을 심화시켰습니다.
② 20세기 이후
- 1936 – 스페인 내전 개시 (스페인, Start of the Spanish Civil War)
스페인령 모로코 주둔 반란군이 공화정부 전복을 목표로 봉기했습니다. 쿠데타는 하루 만에 이베리아 반도로 확산되었습니다. 내전은 1939년 프랑코 장군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 1945 – 포츠담 회의 개막 (독일, Opening of the Potsdam Conference)
미국·영국·소련 정상은 전후 독일 처리와 국제 질서를 논의하기 위해 포츠담에 모였습니다. 회의는 7월 17일부터 8월 2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비군사화·비나치화 원칙과 폴란드 국경 재조정이 합의되었습니다. - 1955 – 디즈니랜드 프레스 프리뷰·헌정 행사 (미국, Disneyland Press Preview and Dedication)
애너하임 디즈니랜드가 초청 전용 프레스 프리뷰와 헌정 행사를 실시했습니다. ABC 방송이 생중계하여 약 9천 만 명이 시청했습니다. 일반 개장은 다음 날인 7월 18일 시작되었습니다. - 1975 – 아폴로‑소유즈 도킹 성공 (미국·소련, Apollo–Soyuz Docking)
미국 아폴로 18호와 소련 소유즈 19호가 지구 궤도에서 도킹했습니다. 우주비행사들은 상호 방문과 공동 과학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이 임무는 첫 국제 유인 우주 협력 사례로 기록됩니다. - 2014 – 말레이시아항공 17편 격추 (우크라이나, Malaysia Airlines Flight 17 Shoot‑down)
보잉 777 여객기가 우크라이나 동부 상공에서 피격되었습니다. 탑승자 298명 전원이 희생되었습니다. 국제조사단은 러시아제 부크 지대공미사일을 원인으로 결론지었습니다.
🔎 사건 들여다보기
1936년 스페인 내전 개시
- 배경
1931년 4월 군주제가 폐지되고 스페인 제2공화국이 성립했습니다. 토지·노동·군제 개혁이 추진되면서 보수파·가톨릭 세력과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1936년 2월 총선에서 좌파 인민전선 정부가 출범하자 군 상층부와 우파 정당이 정권 전복을 논의했습니다. - 봉기와 확산
1936년 7월 17일 스페인령 모로코 주둔 부대가 가장 먼저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7월 18일 반란군 지휘부가 라디오 방송으로 본토 부대에 합류를 요구하면서 쿠데타가 이베리아 반도로 확산되었습니다. 초기에 육·해·공군 약 절반이 반란 진영에 가담했습니다. - 국제 개입
독일과 이탈리아는 반란군에 전투기·중화기를 제공하고 병력까지 파견했습니다. 소련은 정규군 무기와 군사 고문단을 정부군에 지원했습니다. 50여 개국 자원자가 국제여단을 조직해 마드리드·에브로 전선 등에서 정부군과 함께 싸웠습니다. - 종결과 영향
1939년 4월 1일 반란군 총사령관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전역 장악을 선언하면서 전쟁이 종료되었습니다. 전사자와 민간인 희생자를 합쳐 약 50만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프랑코는 1975년 사망할 때까지 국가원수로 통치했고, 전후 초기 수십 년간 스페인은 국제 무대에서 외교적 고립을 경험했습니다.
반응형
'오늘을 읽다 > 오늘의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헌절 • 7월 17일 (0) | 2025.07.16 |
---|---|
📅 7월 16일 오늘의 역사 (0) | 2025.07.15 |
📅 7월 15일 오늘의 역사 (1) | 2025.07.14 |
📅 7월 14일 오늘의 역사 (0) | 2025.07.13 |
📅 7월 13일 오늘의 역사 (0)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