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5

정몽주 인물탐구: 죽어도 나라를 바꾸지 않겠다는 사나이 🧠 누구인가?정몽주(鄭夢周),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1337년 경기도 용인 출신으로, 고려 말 최고의 유학자이자 정치가, 외교가입니다. 성리학을 도입해 학문적 기틀을 마련했고, 조선 건국 직전까지 고려 왕실에 충성을 다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키워드로 보는 정몽주충신의 상징 – 두 임금을 섬기지 않겠다는 절의를 끝까지 지킨 고려의 마지막 충신유학자·스승 – 이색의 제자, 권근·길재 등 후학 양성, 성리학 보급의 핵심 인물비극의 정치가 – 새 시대의 필요를 거부하고 구 왕조의 이상에 끝까지 충실했던 인물🗺 사건으로 보는 생애 흐름🔹 유학자에서 고려 중심 세력으로공민왕 치하에서 등과 후, 이색 문하에서 성리학 수학. 공민왕우왕창왕까지 고려 후기 핵심 관료로 활동하며 외교와 학문.. 2025. 5. 19.
이지란 인물탐구, 칼로 나라를 지킨 사나이 🧠 누구인가?이지란(李之蘭), 본명은 저저포(底底蒲). 여진족 출신으로, 고려 말~조선 초 이성계의 휘하에서 활약한 무장입니다. 조선 개국의 중심 세력 중 하나로 활약했으며, 개국 1등 공신에 오른 인물입니다. 문(文)이 아닌 무(武)로 나라를 만든 대표적 공신이자, 조선 초기 민심을 얻은 무장입니다.🧩 키워드로 보는 이지란여진계 무장 – 이성계에게 귀속된 북방 출신 장수. 성과 이름을 하사받고 조선의 핵심 장수가 됨무공 중심의 공신 – 위화도 회군, 개국 전쟁 등 군사 작전의 최전선 인물민심의 상징 – 왕자의 난 이후에도 죽임을 당하지 않고 유배에 그친 이유: 백성의 존경 때문🗺 사건으로 보는 생애 흐름🔹 여진족에서 조선 장수로원래 이름은 저저포(底底蒲). 여진족 출신이었으나 이성계를 따라 고려.. 2025. 5. 18.
정도전 인물탐구, 왕을 설계한 사나이 🧠 누구인가?정도전(鄭道傳), 자는 종지(宗之), 호는 삼봉(三峯). 1342년 경상도 영일에서 태어나 고려 말~조선 초를 관통한 개혁 정치가이자, 조선의 정신적 설계자입니다. 조선을 세운 이성계 곁에서 제도, 사상, 건축, 법률까지 국가의 뼈대를 만들었습니다.🧩 키워드로 보는 정도전설계자 – 경복궁 배치, 경국대전 초안, 조선의 법·행정 체계를 직접 구상한 실천형 이념가신권주의자 – 왕권의 절대화에 반대하며, 신하 중심의 정치(의정부 서사제)를 설계비극적 지식인 – 이상국가를 설계했지만, 왕자의 난으로 무너짐. 실현된 체제 속에서 사라진 인물🗺 사건으로 보는 생애 흐름🔹 위화도 회군의 동반자1388년, 이성계가 요동정벌을 거부하고 회군할 때, 정도전은 그 옆에 있었습니다. 이 회군은 곧 고려 멸.. 2025. 5. 18.
제5화: 태종 즉위와 강력한 왕권 정비 🎧 긴 글이 부담스럽다면, 그냥 들어보셔도 좋아요.요약 오디오는 글 맨 아래에 있어요.태종 이방원, 그는 피의 왕자의 난을 통해 왕위에 오른 복잡한 운명의 군주였습니다. 그러나 즉위 이후 그가 보여준 것은 단순한 권력 장악을 넘어, 조선을 통치 가능한 나라로 재정비하는 강력한 개혁의 칼날이었습니다. 오늘은 실록 속 기록을 통해 태종의 즉위와 왕권 강화 과정을 깊이 들여다봅니다.📚 목차1. 서론: 혼돈에서 질서로2. 본론①: 방원의 즉위, 그 배경3. 본론②: 왕자의 난과 권력 정비4. 본론③: 6조 직계제와 인사 개편5. 본론④: 실록 속 이야기 - 이지란과 태종의 갈등 6. 결론: 태종의 정치와 유산7. 부록: 용어 정리1. 서론: 혼돈에서 질서로조선 개국 직후의 정국은 혼란스러웠습니다. 건국의 주.. 2025. 5. 18.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신은 죽었는가, 그 빈자리를 채운 인간의 책임 1. 작가 소개**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 (1821–1881)**는 러시아 제국 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19세기 문학사에서 인간의 내면과 도덕적 갈등을 가장 심오하게 탐구한 소설가로 평가받는다.그는 젊은 시절 급진적 사상 활동으로 인해 시베리아 유형을 겪으며, 그곳에서 인간이 고통 속에서 신을 만나는 가능성에 눈을 떴다.그 경험은 이후 그의 작품 세계 전반에 걸쳐 신앙과 자유의지, 죄와 구원을 주요 주제로 삼게 만든 계기가 된다.도스토옙스키는 『죄와 벌』, 『백치』, 『악령』, 그리고 유작인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통해“신이 없다면 모든 것이 허용되는가”라는 질문을 문학의 언어로 던졌고,그의 소설들은 모두 도덕적 딜레마, 철학적 사유, 영혼의 고통이 교차하는 형식으로 전개된다.『카라.. 2025. 5. 18.
유럽 3편 : 노르웨이 – 한 걸음, 그곳의 숨결을 걷다 1. 🇳🇴 국가 기본 정보정식 명칭노르웨이 왕국 (Kingdom of Norway)수도오슬로 (Oslo)공식 언어노르웨이어인구약 550만 명통화노르웨이 크로네 (NOK)정치체제입헌군주제 + 의회민주주의종교루터교 중심의 개신교피오르와 오로라의 나라, 노르웨이.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북유럽의 단단한 철학이 숨 쉬는 곳입니다.2. 🗺️ 국기와 지도, 그리고 지리 개요국기 이미지:📍 지도에서 노르웨이 위치 보기지리 개요:노르웨이는 스웨덴, 핀란드,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길게 찢어진 해안선과 피오르로 유명합니다. 북극권에 걸쳐 있는 만큼 백야와 극야를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나라입니다. 3. 🕰️ 역사 – 과거에서 오늘까지 바이킹의 시대, 북쪽 바다의 지배자:천 년 전, 노르웨이의 해안에는 목재.. 2025. 5. 18.
📚 『작은 땅의 야수들』 리뷰 1. 작품 기본 정보 (최신 수상 이력 포함)제목: 작은 땅의 야수들저자: 김주혜출판사: 은행나무발행연도: 2022년수상 이력:2024 톨스토이 문학상(야스나야 폴랴나상) 해외문학상 수상2022 데이턴 문학 평화상 최종 후보아마존 ‘이달의 책’ 선정해외 출간 현황: 12개국 이상 번역 출간별점: ★★★★★ (5점 만점)2. 작가 소개김주혜는 『작은 땅의 야수들』로 전 세계 문학계의 주목을 받은 한국계 미국 작가다. 한국 현대사의 비극을 배경으로, 인간 내면의 갈등과 존엄성을 뛰어난 문체로 풀어낸다. 이 작품을 통해 고요하지만 강력한 언어의 힘으로 독자에게 깊은 울림을 전한다.3. 줄거리 요약 『작은 땅의 야수들』은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의 한국을 배경으로, 다양한 인물들의 삶을 교차 서사 구조.. 2025. 5. 17.
『다섯째 아이』 줄거리 요약과 감상 - 도리스 레싱의 충격적 질문 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는 평범한 가족의 틀 안에 자리한 불편한 진실과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을 탐색하는 작품입니다. 이 책은 모성, 정상성, 공동체의 폭력성을 건드리며 독자에게 도전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아래에서 작가 소개부터 줄거리, 감상, 그리고 함께 읽으면 좋은 책까지 정리해드립니다.👩‍🏫 작가 소개: 도리스 레싱도리스 레싱(Doris Lessing, 1919–2013)은 영국을 대표하는 여성 작가이자 노벨문학상 수상자입니다. 대표작으로는 『황금 노트북』, 『생존자의 회고록』 등이 있으며, 페미니즘, 식민주의, 가족 구조 등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뤘습니다. 그녀는 『다섯째 아이』를 통해 문명과 본능, 사회와 개인 사이의 균열을 날카롭게 파헤칩니다.📘 줄거리 요약1. 평화롭고 이상.. 2025. 5. 17.
『롤리타』 줄거리 완전 정복 – 금기의 사랑인가, 치명적 집착인가? 👤 작가 소개: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언어의 마술사이자 금기의 탐색자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 1899–1977)는 러시아 제국 출신의 영미 문학 작가이자 언어학자, 번역가, 곤충학자였다. 러시아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1917년 러시아 혁명을 피해 유럽으로 이주했고, 이후 미국과 스위스를 거쳐 다국적 정체성을 지닌 문학가로 성장했다.그는 모국어인 러시아어뿐 아니라 영어로도 문학적 완성도를 이룬 유일한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문장을 다루는 정밀함과 다층적인 상징성, 문학적 장난과 도발적 주제의식은 나보코프 문학의 핵심이다.🎯 대표작과 문학적 특징그의 대표작은 단연코 『롤리타』(1955)이며, 이외에도 『창백한 불꽃(Pale Fire)』, 『아다 혹은 열정.. 2025. 5. 16.
이반 투르게네프 『첫사랑』 줄거리 1. 작가 소개: 이반 투르게네프 – 부드러운 러시아 사실주의의 거장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Ivan Sergeyevich Turgenev, 1818~1883)는 러시아 리얼리즘 문학의 선구자이자 가장 섬세한 문장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습니다.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유럽식 교육을 받고 자란 그는, 현실 비판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시선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포착하는 능력이 탁월했습니다.대표작으로는 『사냥꾼의 수기』, 『귀족의 보금자리』,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첫사랑』이 있으며, 특히 『첫사랑』은 그의 자전적 경험이 반영된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도스토옙스키나 톨스토이의 강렬한 서사와는 달리, 투르게네프는 부드럽고 절제된 문체, 감정의 잔물결 같은 묘사, 여성 인물의 이상화로 독자에게 오랜 여.. 2025. 5. 15.
『지킬 박사와 하이드』 줄거리 1. 작가 소개: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누구인가?1850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태어난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R. L. Stevenson)은 모험과 인간의 이중성이라는 주제를 능숙하게 다룬 고전 문학의 대표 작가입니다. 대표작으로는 『보물섬』, 『지킬 박사와 하이드』 등이 있으며, 결핵을 앓으면서도 왕성하게 집필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지킬 박사와 하이드』는 인간 내면의 선과 악, 억압된 욕망과 사회적 도덕의 충돌을 심도 있게 그려낸 작품으로 널리 평가받습니다.2. 줄거리 요약 – 시간 순, 사건 중심의 몰입형 구성1. 하이드를 처음 목격하다런던의 변호사 어터슨은 친구 엔필드로부터 기이한 이야기를 듣는다. 한 남자가 어린 소녀를 무자비하게 짓밟은 후, 돈으로 상황을 무마했다는 것이다. 이상한 점은.. 2025. 5. 15.
『첫 여름, 완주』 리뷰 지은이 : 김금희 출판 : REC NOVEL 별점 : ⭐⭐⭐⭐☆ (4/5)🧭 줄거리 요약서울에서 마음의 균열을 안고 살던 '세연'은, 어느 날 완주로 도망치듯 떠난다. 직장도, 사랑도, 삶의 의지도 무너진 그녀는, 그곳에서 아무도 모르게 살아가려 한다. 그러나 조용한 완주의 풍경 속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사건들은, 그녀의 감정과 기억을 천천히 흔든다. 배신과 상실, 공허와 무기력으로 가득 찬 삶 속에서 세연은 ‘살고 있음’ 그 자체를 다시 배우게 된다. 완주는 도피처가 아닌, 삶이 흐르는 곳이었다.🍃 『첫 여름, 완주』 감상 – 다 지나가고, 잊히고, 다시 살아지는 시간들김금희의 소설은 언제나 말 없는 마음의 이면을 꺼내 보이듯이 다가온다.그리고 『첫 여름, 완주』는 그중에서도 가장 조용하지만 강하게 .. 2025.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