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 인물탐구, 왕을 설계한 사나이
🧠 누구인가?정도전(鄭道傳), 자는 종지(宗之), 호는 삼봉(三峯). 1342년 경상도 영일에서 태어나 고려 말~조선 초를 관통한 개혁 정치가이자, 조선의 정신적 설계자입니다. 조선을 세운 이성계 곁에서 제도, 사상, 건축, 법률까지 국가의 뼈대를 만들었습니다.🧩 키워드로 보는 정도전설계자 – 경복궁 배치, 경국대전 초안, 조선의 법·행정 체계를 직접 구상한 실천형 이념가신권주의자 – 왕권의 절대화에 반대하며, 신하 중심의 정치(의정부 서사제)를 설계비극적 지식인 – 이상국가를 설계했지만, 왕자의 난으로 무너짐. 실현된 체제 속에서 사라진 인물🗺 사건으로 보는 생애 흐름🔹 위화도 회군의 동반자1388년, 이성계가 요동정벌을 거부하고 회군할 때, 정도전은 그 옆에 있었습니다. 이 회군은 곧 고려 멸..
2025. 5. 18.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신은 죽었는가, 그 빈자리를 채운 인간의 책임
1. 작가 소개**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 (1821–1881)**는 러시아 제국 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19세기 문학사에서 인간의 내면과 도덕적 갈등을 가장 심오하게 탐구한 소설가로 평가받는다.그는 젊은 시절 급진적 사상 활동으로 인해 시베리아 유형을 겪으며, 그곳에서 인간이 고통 속에서 신을 만나는 가능성에 눈을 떴다.그 경험은 이후 그의 작품 세계 전반에 걸쳐 신앙과 자유의지, 죄와 구원을 주요 주제로 삼게 만든 계기가 된다.도스토옙스키는 『죄와 벌』, 『백치』, 『악령』, 그리고 유작인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통해“신이 없다면 모든 것이 허용되는가”라는 질문을 문학의 언어로 던졌고,그의 소설들은 모두 도덕적 딜레마, 철학적 사유, 영혼의 고통이 교차하는 형식으로 전개된다.『카라..
2025. 5. 18.
『다섯째 아이』 줄거리 요약과 감상 - 도리스 레싱의 충격적 질문
도리스 레싱의 『다섯째 아이』는 평범한 가족의 틀 안에 자리한 불편한 진실과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을 탐색하는 작품입니다. 이 책은 모성, 정상성, 공동체의 폭력성을 건드리며 독자에게 도전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아래에서 작가 소개부터 줄거리, 감상, 그리고 함께 읽으면 좋은 책까지 정리해드립니다.👩🏫 작가 소개: 도리스 레싱도리스 레싱(Doris Lessing, 1919–2013)은 영국을 대표하는 여성 작가이자 노벨문학상 수상자입니다. 대표작으로는 『황금 노트북』, 『생존자의 회고록』 등이 있으며, 페미니즘, 식민주의, 가족 구조 등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뤘습니다. 그녀는 『다섯째 아이』를 통해 문명과 본능, 사회와 개인 사이의 균열을 날카롭게 파헤칩니다.📘 줄거리 요약1. 평화롭고 이상..
2025. 5. 17.
『롤리타』 줄거리 완전 정복 – 금기의 사랑인가, 치명적 집착인가?
👤 작가 소개: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언어의 마술사이자 금기의 탐색자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 1899–1977)는 러시아 제국 출신의 영미 문학 작가이자 언어학자, 번역가, 곤충학자였다. 러시아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1917년 러시아 혁명을 피해 유럽으로 이주했고, 이후 미국과 스위스를 거쳐 다국적 정체성을 지닌 문학가로 성장했다.그는 모국어인 러시아어뿐 아니라 영어로도 문학적 완성도를 이룬 유일한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문장을 다루는 정밀함과 다층적인 상징성, 문학적 장난과 도발적 주제의식은 나보코프 문학의 핵심이다.🎯 대표작과 문학적 특징그의 대표작은 단연코 『롤리타』(1955)이며, 이외에도 『창백한 불꽃(Pale Fire)』, 『아다 혹은 열정..
2025. 5. 16.
『첫 여름, 완주』 리뷰
지은이 : 김금희 출판 : REC NOVEL 별점 : ⭐⭐⭐⭐☆ (4/5)🧭 줄거리 요약서울에서 마음의 균열을 안고 살던 '세연'은, 어느 날 완주로 도망치듯 떠난다. 직장도, 사랑도, 삶의 의지도 무너진 그녀는, 그곳에서 아무도 모르게 살아가려 한다. 그러나 조용한 완주의 풍경 속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사건들은, 그녀의 감정과 기억을 천천히 흔든다. 배신과 상실, 공허와 무기력으로 가득 찬 삶 속에서 세연은 ‘살고 있음’ 그 자체를 다시 배우게 된다. 완주는 도피처가 아닌, 삶이 흐르는 곳이었다.🍃 『첫 여름, 완주』 감상 – 다 지나가고, 잊히고, 다시 살아지는 시간들김금희의 소설은 언제나 말 없는 마음의 이면을 꺼내 보이듯이 다가온다.그리고 『첫 여름, 완주』는 그중에서도 가장 조용하지만 강하게 ..
2025.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