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확장/속담 & 고사성어29 📘 속담 시리즈: 망둥이가 뛰면 꼴뚜기도 뛴다 1. 속담 원문 소개망둥이가 뛰면 꼴뚜기도 뛴다(望東跳則骨突跳, 망동도즉골돌도)2. 기본 의미 해설직역: 망둥어가 뛰면, 그걸 보고 꼴뚜기도 따라서 뛴다는 말은유: 남이 한다고 하니까 앞뒤 가리지않고 덩달아 나서는 경우에 비웃어 이르는말요즘 쓰임: 누군가 투자, 소비, 유행을 따라 했다가 실패했을 때 풍자적으로 사용됩니다.3. 유래와 역사적 맥락망둥이는 얕은 바닷가에서 빠르게 뛰는 물고기이고, 꼴뚜기는 그렇게 움직이지 못하는 연체동물입니다.이 속담은 자기 처지나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남을 따라하는 어리석은 태도를 경계하라는 의미로 전해집니다.조선 후기 풍자 문학에서도 양반을 따라 하는 서민의 모습에 빗대어 종종 인용되었습니다. 4. 속담 적용 대화상황 예시🗣️ 예시 1 – 주식 투자진수: 친구 따라 코.. 2025. 7. 5. 📘 속담 시리즈: 도랑 치고 가재 잡는다 1. 속담 원문 소개도랑 치고 가재 잡는다(溝渠打兼捉蝲蛄, 구거타겸촉낙고)2. 기본 의미 해설직역: 도랑을 고치려 했을 뿐인데, 우연히 가재까지 같이 잡았다는 뜻입니다.은유: 한 가지 일을 하면서 예상치 못한 이익까지 얻게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3. 유래와 역사적 맥락‘도랑’은 논밭 근처 물길을 정비할 때 생기는 인공 수로이며, ‘가재’는 그 안에 자주 서식하는 수생 생물입니다.이 속담은 농경 사회에서 실용적 맥락에서 생겨난 것으로, 본래 목적 외에 부가적인 이득까지 얻는 경우를 긍정적으로 비유합니다.민속과 구전 설화에서는 이 속담이 **‘실용과 이득의 조화’**를 상징하며, 현명한 사람의 행동이나 뜻밖의 행운을 설명할 때도 쓰였습니다. 4. 속담 적용 대화상황 예시🗣️ 예시 1 – 직장에서선배: .. 2025. 7. 4. 📘 속담 시리즈: 나는 새도 떨어뜨린다 1. 속담 원문 소개나는 새도 떨어뜨린다2. 기본 의미 해설직역: 하늘을 나는 새조차도 땅에 떨어뜨릴 만큼 벼슬이 높거나 힘이 있다는 뜻으로, 권세가 대단하여 모든 일을 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상태를 빗대어 이르는 말.아무리 빠르고 자유로운 존재도 제압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은유: 절대적인 권력이나 영향력을 가진 인물을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 실제보다 과장되었더라도 공포심이나 위압감을 표현할 때 자주 쓰입니다.요즘 쓰임: 권력자, 상사, 검사나 권위자에 대해 “그 사람은 나는 새도 떨어뜨려”라고 하며 위세를 말할 때 쓰입니다.3. 유래와 역사적 맥락‘나는 새도 떨어뜨린다’는 표현은 한국 근현대사에서도 종종 사용되었으며, 특히 권력 기관의 무서운 영향력을 풍자하는 말로 알려져 있습니다.이는 본래 공포.. 2025. 7. 3. 📘 속담 시리즈: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1. 속담 원문 소개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2. 기본 의미 해설직역: 고양이의 움직임을 미리 알기 위해 그 목에 방울을 달자는 발상은유: 위험하거나 어려운 일을 누구나 말은 하지만, 실제로 행동에 옮기는 이는 없다는 뜻요즘 쓰임: 말은 쉽게 해도 실행은 어렵다는 맥락에서 자주 사용됨. 회의에서 “그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아닌가요?”처럼 쓰임.3. 유래와 역사적 맥락이 속담은 유럽의 이솝 우화에서 유래했습니다. 어느 날 생쥐들이 고양이를 피해 회의를 열어, 고양이의 접근을 알기 위해 방울을 달자는 좋은 의견이 나왔지만, 막상 누가 그것을 실행할지는 정하지 못하고 끝난 이야기입니다. 이는 말보다 행동이 어렵다는 교훈으로 전해졌고, 한국에서도 그 의미를 그대로 수용해 속담으로 자리 잡았습니다.4. 속담 적용.. 2025. 7. 2. 🐅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1. 속담 원문 소개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虎死留皮 人死留名(호사유피 인사유명)2. 기본 의미 해설직역 : 호랑이는 죽은 뒤 귀한 가죽만 남고, 인간은 죽은 뒤 생전 행실로 쌓은 이름(평판)이 남습니다.은유 : 물질적 가치(가죽)와 도덕·사회적 가치(이름)를 대비하여, 인간에게는 명예와 평판이 최고의 유산임을 일깨웁니다.오늘날 쓰임 : “기업 이미지 관리”나 “온라인 평판 관리”처럼 무형 자산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자주 인용됩니다.3. 유래와 역사적 맥락속담은 중국 고전 史記 (사기)·後漢書 (후한서)에 유사 문장이 보이며, 조선 家訓 (가훈) 및 訓蒙字會 (훈몽자회)에도 기록됩니다. 사냥으로 얻은 호랑이 가죽은 조선 왕실과 사대부에게 최고의 전리품이었고, 그 상징이 .. 2025. 6. 29. 이전 1 2 3 다음